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투명한 나노셀룰로오스-안료 복합재료 필름

전문가 제언

종이 수요의 감소에 따라 잉여 셀룰로오스를 타 용도에 사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 CNF)도 그중의 하나로 식품, 화장품 제조용 점탄성 조절제, 포장용 차단제, 인쇄 전자 및 센서의 기판 등의 용도로 검토되고 있다.

 

특히 생분해성 천연고분자인 CNF를 포장 판재의 차단층으로 하는 코팅은 비생분해성 플라스틱 코팅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코팅제로, 본 연구 결과 점토보강 연질목재 펄프 CNF는 그 수 분산의 유변학적 거동 및 필름의 투명성, 산소 및 수증기 차단성 측면에서 이 용도로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에 스웨덴 Uppsala Univ. 산하 Nanotechnology and Functional Materials Div.에서 산업용 바이러스 필터보다 효율이 뛰어난 바이러스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종이 필터를 개발했으며, 핀란드 Aalto Univ.에서 포장재로 사용가능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보강 poly(lactic acid)를 개발했다.

 

일본 1위의 제지회사인 Oji Holdings()Mitsubishi Kagaku()가 공동으로 롤 형태의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종이를 만드는 데 성공했고, 최근에는 미국 Univ. of Maryland에서 직경 10nm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로 일반 종이보다 40배 더 큰 인성을 가지고 130배 더 강한 종이를 개발했다고 발표하고 있다. 또한 스웨덴 왕립기술연구소 산하 Wallenberg Wood Science Center가 초고강도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개발에 성공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국산림과학원에서 20072012년에 걸쳐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제조 및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보강 고분자 복합재료 연구를 수행했으며,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사용하여 리튬이온전지 분리막 제조(WO 2013081228 A1,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다공성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에 성공했다. 최근에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대학 산림과학과에서 CNF 매트의 제조 조건에 따른 특성 변화를 한솔제지와 공동 연구한 논문을 발표했다.

 

저자
Camila Honorat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50()
잡지명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343~7352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