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웹을 위한 아바타 아키텍처
- 전문가 제언
-
○ 다른 유형의 다수 객체 사이의 협력을 요구하는 복잡 환경의 작업에도 사용자의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웹 표준 프로토콜 및 시맨틱 방법에 의한 서비스가 필수적이다. 이 논문은 웹에 물리적 객체를 확장하기 위하여 사이버-물리 객체간의 아바타 사용을 제안하고 WoT를 위한 아바타 아키텍처를 소개하고 있다.
○ IoT 환경에서 자원 제한적인 객체는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 전체 WoT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삽입할 수 없지만 미 삽입된 플랫폼 부분을 포함하는 원거리 호스트를 활용하여 Connectiv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원을 보유하지 않은 객체는 QR코드나 RFID 태그와 같은 고유 식별자를 사용하여 검출하는 수동적인 객체로서 계산, 저장, 메모리 성능이 부족하다. 해결방안의 하나는 클라우드 또는 로컬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상에 배치되는 소프트웨어로 객체들을 확장하는 것이다.
○ WoT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표준 규격의 결여는 웹상에 물리적 객체를 확장하는 WoT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의 가속화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으며다.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대한 디자인 요구사항으로 OM2M (Open Machine-to-Machine) 오픈 소스 플랫폼에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OSGi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기반의 아바타 플랫폼이 설계되었다. 아바타 아키텍처는 객체 상호운용 모듈/ 코어 모듈/ 통신 모듈/ 웹 서비스 모듈/ WoT 응용 프로그램 모듈/ 협업 모듈의 6개 기능 모듈로 구성된다.
○ 웹 표준을 사용하여 물리적 객체를 액세스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사물 (WoT) 웹은 IoT를 확장한다. 이를 위해 객체는 웹 서비스를 통하여 논리적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시맨틱 웹 언어와 주석을 사용하여 웹 콘텐츠 및 서비스를 설명하며 객체 간의 소프트웨어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는 표준 프로토콜을 통해 의사소통을 한다. 연결된 객체의 형태와 수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더라도 WoT는 아직은 미흡하다. 완벽하게 물리적 객체를 상호 연결하고 웹에서 객체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호 이질성을 극복하고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 비즈니스 모델 표현(인터페이스)이나 추상화 개념을 필히 공유해야 한다
- 저자
- Michael Mrissa ,Lionel Medini,Jean-Paul Jamont,Nicolas Le Sommer and Jerome Laplace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19(2)
- 잡지명
- Internet Comput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0~38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