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심층학습에 대하여

전문가 제언

인간의 신경망이 밝혀지기 시작되고 이를 모방한 신경망 학습 기법이 오래전에 개발되어 있었으나 활용도지 못하고 있었다. 빅 데이터의 축적과 GPU로 대표되는 초고속 병렬계산기의 보급이 인공지능분야, 특히 심층신경망학습 분야로 확장되면서 인공지능분야는 패러다임 시프트에 가까운 변혁을 겪고 있다.

 

"Google Self-Driving Car" 자율주행자동차 등 인공기능을 활용한 지능형 제품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LIDAR/ RADAR 등 각종 센서에서 얻어 진 주변 환경 데이터를 GPU 컴퓨팅이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자율주행자동차에서 인간의 자동차주행과 같은 시각정보와 그간의 경험으로 축적된 운전 노하우를 기계가 심층 학습한 차량 탑재 인공지능시스템으로 자동차를 주행시키는 시스템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의 중심에 있는 것이 CNN(convolutional neural net) 심층학습이다. 특히 화상인식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 보고서는 그간에 여러 종류의 해설서와 계몽서가 출간되고 있었으나 참된 모습을 알기 어려웠고 무엇이 어떻게 서로 다른 것인지를 알기 어려웠다. 이 보고서는 심층학습의 본질을 직설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면서도 과장하지 않고 있어 초심자에게는 크게 도움이 된다.

 

전 세계적가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컨벌루셔널 신경망 학습 분야에 한국의 대학과 연구기관 및 기업체도 참여하고 있다. 현재의 인공지능 붐 조성에 크게 기여한 미국의 gpu메이커 Nvidia가 한국에서도 미국, 일본 등에서 개최한 것과 같은 GTC(GPU Technology Conference)를 서울에서 개최했다.

 

심층신경망 학습을 실제로 연습할 수 있는 개발환경이 1,500만원 수준으로 보급되고 있어 국가가 보조예산을 확보하여 인공지능기술이 전 국민의 기초능력이 되도록 하는 힘 써야 할 것이다. ICT 다음 세기가 전개되고 있음을 알아 야 한다.

 

저자
T. Okatan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5
권(호)
33(2)
잡지명
日本ロボット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92~96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