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AZ91D Mg합금 판재의 미세조직과 부식거동에 미치는 제조방법의 영향

전문가 제언

Mg합금은 소성가공성이 낮기 때문에 성형품의 제조는 주조와 같은 용융가공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Mg합금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용융가공법으로는 용탕을 고속, 고압으로 금형에 주입하여 응고시키는 고압다이캐스팅법(HPDC), 고상과 액상이 공존하는 반용융 슬러리를 금형에 사출하여 성형하는 딕소몰딩법(TXM), 냉각되는 롤과 롤 사이에 용탕을 공급하여 주조와 압연을 겸하는 방식으로 박판을 제조하는 쌍롤주조법(TRC)이 있다.

 

상기의 공정들은 용융금속의 냉각속도와 주조조건이 다르므로 동일한 조성의 합금에서도 응고조직에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들 방법으로 제조된 판재의 미세조직과 부식거동을 비교 분석한 것으로서, 결정립이 가장 미세할 뿐만 아니라 부식장벽으로 작용하는 β(Mg17Al12)의 석출량이 많고 균일하게 분포하는 TXM판재가 가장 우수한 부식저항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XM법은 산화물의 발생이나 혼입이 적다는 점에서 기계적 특성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TXM법은 플라스틱 사출법과 금속의 다이캐스팅을 결합시킨 방법으로 주입온도가 낮아 응고수축이나 가스수축에 의한 결함이 적고, 응고잠열이 작아 금형수명이 길며 치수정밀도가 높은 특징이 있어 자동차 부품이나 IT관련 부품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TRC법은 원래 철강의 스트립캐스팅을 위해 개발된 기술로서 단일공정으로 박판을 제조할 수 있어 반복적인 열간압연으로 박판을 제조해야 하는 Mg합금에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국내에서는 TRC법으로 두께 6이하의 Mg 박판코일을 제조하고 이를 압연하는 연속주조+코일압연 복합공정이 RIST에서 개발되어 POSCO 마그네슘 공장에 폭 2,000의 판재를 생산하는 스트립캐스팅 설비가 가동 중이다. KIMS에서는 압연과 압출공정에 이용되는 판재나 빌렛을 연속주조법으로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TXM법은 성형품의 품질 특성 개선, TRC법은 박판재의 양산을 위하여 개발된 기술이므로 Mg합금에 널리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Daniela Zander, Christian Schnatter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98()
잡지명
Corrosion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91~303
분석자
심*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