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셀 망의 무선에너지 수확
- 전문가 제언
-
○ 소형 셀 망(SCN)은 이동데이터 트래픽의 지수적인 증가와 가입자의 고품질 서비스 요구를 만족시키므로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소형 셀 망의 광범위한 설치는 최적화의 복잡성과 배치운용의 고비용으로 인해 아직 상용화되지 않고 있다.
○ 차세대 무선망의 성능과 통신범위를 만족하기 위하여 소형 셀 기지국(SCBS)의 밀집배치는 전력소모를 증가시켜 탄소배출량이 증가된다. 따라서 소형 셀 망의 효율적인 전력공급을 위하여 청정 에너지원의 개발이 필요하다.
○ 태양과 풍력에너지의 조합은 SCBS의 최적 청정 에너지원이다. 선진국들은 태양과 풍력에너지를 복합 수확한 BS 상용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Wind-Fi’는 태양과 풍력에너지 수확운용을 위한 신뢰도 높은 무선망을 제공하는 시제된 BS이다.
○ 스마트 폰 같은 이동 단말기와 센서 네트워크가 전술통신망에 통합되어 운용되는 미래전은 통신망 품질이 전쟁의 승패를 좌우한다. 특히 산악이 많은 국내 전투 환경에서 전장감시를 위한 센서 데이터의 두절 없는(seamless)통신망 구현은 필수적이다.
○ 전술 데이터 획득과 중계전송을 실시간 가능하게 하는 소형 셀 망 구축과 반영구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에너지 수확기술은 무인운용이 필요한 군수장비의 운용효과를 극대화한다. 이것은 통신 가용범위 확장과 병사 개인 통신품질 향상을 가능하게 하여 산악지형과 도심지역의 전술작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 에너지 수확기술의 국내 산학연 연구는 다방면에서 활발하다. 그러나 대부분은 이론정립에 필요한 소규모 장치, 단일 에너지원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을 고려한 다양한 에너지원의 개발과 사용자중심의 에너지 수확 전송 저장 관리 등의 체계적인 연구개발과 적용분야에 따른 관련시장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 저자
- Yuyi Mao, Yaming Luo, Jun Zhang, Khaled B. Letaief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5
- 권(호)
- 53(6)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94~101
- 분석자
- 조*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