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니켈의 초음파 전착법

전문가 제언

초음파 전착법을 이용한 기능성 Ni전기도금 기술은 향후 에너지, 광발전(photovoltaic)과 같은 첨단 산업분야에도 발전 가능성이 많다. 일례로 수중에서 사용될 수 있는 Langevin형의 변환기는 각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고주파 시스템, 저출력 시스템 혹은 호른(horn)과 같은 저주파 고출력 시스템에서 대규모의 도금조로 크기를 확장하는데, 초음파 시스템을 적당하게 이용한다면 향후 유망한 연구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기업체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도금기술을 정착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우선 초음파의 주파수의 변화시켜 최적의 초음파 주파수를 찾아내어야 한다. 그리고 초음파력(ultrasonic power)과 초음파 작동시간에 따른 최적의 도금 석출량과 경도의 상승값을 파악하여야 한다. 이 외에도 첨가제(완충제, 착화제, 촉진제, 안정제, 광택제, 습윤제 등)의 종류와 농도, pH 값의 설정에 관해서도 유념하여 표면결함이 나타나지 않고 표면품질, 즉 표면경도, 잔류응력, 내마모성, 피로강도 등이 가장 양호한 조건을 규명해야 한다.

 

금속의 초음파 전착법을 소규모 실험실 장치에서 대규모 상용화 제품생산체제로 확대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을 미리 주목해야 할 것이다. 표면결함(예, 피트, 에로젼 마크)이 발생되지 않는 도금조건, 최적의 초음파 출력범위, 고주파 및 저주파의 선택과 고출력과 저출력에 따른 도금층의 변화 등에 대한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자료 확보에 본 자료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첨단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니켈도금에 의한 표면품질 향상과 수요확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14년 한진화학(주)의 공개특허(10-2014-0110245), 2015년 (주)우진 WTP의 등록특허(10-1509473)에 의하면 안테나의 무전해 니켈도금 전에 초음파를 탈지, 세척공정에 적용한 실적이 있으나, 실제 니켈도금 중에 초음파를 적용하지는 않았다. 향후 국내기업체에서도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 초음파를 적용한 도금기술의 개발과 정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Ignacio Tudel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264()
잡지명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9~59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