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에서 조절 RNA를 이용한 유전체공학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sRNA, RNAi, asRNA 그리고 CRISPR-Cas를 포함해서 다양한 trans로 작용하는 조절 RNA플랫홈을 이행하는 미생물 유전체 공학에서의 최근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특히 어떻게 계량할 수 있고 복합적 천성을 가진 trans로 작용하는 RNA가 기능 유전체학과 대사공학적인 적용 과정에서 유전체 전체에 걸친 조합 다양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 디자인과 context 의존 조절 기술의 진전이 trans로 작용하는 정밀 조화 (fine-tuning) 능력을 개선하는데 공헌한 점을 논의하고 있다.
○ 조절 RNA는 다양한 생명체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정하는 주요 인자로써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식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모듈화 및 프로그램이 가능한 천성 때문에 trans로 작용하는 조절 RNA가 어떻게 유전체 규모에서 적용되는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현재는 유전체 전반에 걸친 RNA분자 또는 RNA발현 카세트가 검정 및 알려진 표현형에 대한 적합한 유전자의 동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쉽게 설계되고 만들어질 수 있다. 더욱이 한 세포 내에서 몇 개의 조절 RNA를 함께 도입할 수 있어, 복수로 표적화 할 수 있다. 이 능력은 복잡한 유전적 네트워크 내 비선형 상호 작용의 이해에 아주 중요하다.
○ RNAi 라이브러리 제작이 용이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전자 knockout방법을 사용했을 때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던 유전체 규모의 검정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예전에는 접근할 수 없었던 상조적인(synergistic) 유전적 돌연변이들의 발견이 가능해졌다.
○ sRNA, RNAi, asRNA를 포함하는 조절 RNA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도 미생물 및 식물분야에서 널리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에 주목 받고있는 CRISPR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교정(editing)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CRISPR-Cas 9을 이용한 연구는 세계적인 수준으로 산업계에서도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저자
- Tong S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36()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85~90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