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디젤 생산용 미세조류의 마이크로파 처리로 지질 추출 개선

전문가 제언

바이오연료는 태생적으로 심각한 도덕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곡물을 원료로 하는 1세대 바이오연료는 식량의 에너지화로 빈민들의 기근을 심화시킨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비식용식물을 이용한 2세대 바이오연료는 토지와 투입자원(, 비료, 살충제 등)에서 식량과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미세조류는 3세대 바이오연료의 자원으로서 비생산적인 토지나 염수(해수)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여 이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전체는 전기적으로 중립이지만 각 분자는 극성을 띄고 있다. 여기에 자장을 걸면 유전체 분자가 자장의 방향에 따라 정렬한다. 그리고 자장 방향이 반대가 되면 유전체는 물리적으로 180도 회전을 한다. 주파수 2,450MHz의 마이크로파는 1초에 방향을 24천만 번 바꾸는데 유전체가 이를 따라 회전하다가 발열하면서 파괴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파는 화학공업에서 매우 촉망받는 기술이 되고 있다. 이 자료는 마이크로파를 미세조류의 세포벽 파괴에 활용하는 경우를 검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화학반응 촉진기술을, KIST에서는 키토산 추출에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기술을 연구한 바 있다. 그러나 미세조류에서 바이오연료를 만들기 위한 전처리과정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였다는 연구정보는 없다.

 

세계적으로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생산은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생명공학연구원의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오일 및 고부가가치 생물소재 생산기술', KAIST초구조를 통한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전체 공정의 최적생산 공정연구’, 에너지기술연구원의 저가형 비닐 광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혼합영양 고지질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생산’, 경북대의 담수미세조류 대량배양시설 구축 및 바이오매스 생산 실증연구등 많은 연구 성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바이오연료 이용은 식량과 토지의 문제 때문에 장기적으로 미세조류를 이용한 제3세대 바이오연료 개발로 나아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므로 이 분야의 기술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광범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저자
Mehmood Ali, Ian A. Watso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76()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70~477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