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마트폰 기반 사용자 접근제어 기술

전문가 제언

이 기술의 핵심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개인정보(위험상황 정보 및 만성질환자의 건강지수 등)를 보안모듈을 통해 액세스하여 제3자에 의해 해킹당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이는 확산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정보보호 기술 분야에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기술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fingerprint(그림1130)를 이용한 지문인식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지문뿐만 아니라 얼굴, 음성 및 암호문 등 다양한 정보를 통해 생체인식 기능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스마트폰의 위치정보 서비스는 편리하고 다양한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때로는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위치정보는 각 개인이 자신의 위치정보에 대한 접근허가 대상자 등을 직접 제어하거나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OTP 기반 인증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사용자 스스로 위치정보를 접근 제어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개발되었다. 이를 통해 개인 위치정보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통해 금융정보 및 업무정보 유출, 개인정보 유출과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공격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아울러 원격제어, 동작방해, 과금 유도 및 유해사이트 접속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내 SMS 데이터, 주소록 및 통화목록 등 개인정보 해킹을 이용한 악의적인 공격 등이 발생하고 있어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이 특허기술과 같이 안전한 보안모듈을 통해 개인정보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 해킹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위치정보서비스(LBS)가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일대일 마케팅 등 다양한 부가수익이 창출되면서 국내 이동통신사의 서비스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무료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을 통해 플랫폼 사업자로 급속히 변화해가고 있다. 이 특허기술과 같이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여 안전한 접근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

 

저자
OUTWATER, Chris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WO20150105825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4
분석자
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