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기 원뿔형 빔 컴퓨터 단층촬영 프로토콜의 유효선량 연구

전문가 제언

ICRP(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에서는 방사선 검사 및 피폭의 정당성 확보 개념, 방사선의 의학적 사용 정당성, 방사선 검사의 특정 절차가 의학적 목적에 부합하는지의 정당성 및 구체적으로 환자에게 적용하는 특정 과정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다.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 피폭의 합리적 최소화(ALARA: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원칙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2종의 치과용 아치 프로토콜 평가에 대해 유효선량 값은 Gendex 기기에서 Orthophos XG 3D3배 이상이나 더 많은 유효선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차이점을 설명하는 결정요인은 두 기기의 FOV 크기가 비교될만한 경우에도 회전 호, 여과 및 이다.

 

단일 치과용 아치의 프로토콜에 대한 특히 상부 턱에서 측정된 두 기기의 유효선량은 51.2 (Gendex) 62.7 (i-CAT)으로서 차이점은 18%로 그리 크지 않았고, 세포조직 및 장기에 대한 (가중계수) x (등가선량)의 기여도 값은 골수에서만 상당한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세포조직/장기의 유효선량 기여도 평가에서 개별적으로 침샘은 약 30% 기여를 하였고 나머지 조직은 계산된 유효선량의 평균 36%로서 가장 크게 기여하였으며, 이는 Pauwel(2012), Kovisto(2012) Roberts (2009)가 수행한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 ICRP 103(ICRP 2007)에 침샘이 개별적인 장기로서 포함되어 있으며 ICRP 103 발행 전의 연구와 비교해서 유효선량 기여도가 상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컴퓨터 단층촬영(CT) 및 양전자 단층촬영(PET) 등 방사선을 이용한 영상 검사에 의해 방사선량을 최소한도로 피폭되도록 하기 위해 연구자와 기사 및 업계의 관련 12개 단체로 구성된 의료피폭연구정보네트워크가 검사 부위와 목적 별로 선량의 기준을 정하고 있다.

 

저자
Maria Rosangela Soares, Wilson Otto Batista, Patricia de Lara Antonio, Linda V.E. Caldas, Ana F.Mai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100()
잡지명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1~26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