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교통 시스템

전문가 제언

지능형교통시스템(ITS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은 사람이 두뇌의 조절과 제어 기능에 의해 신체가 움직이듯이 기존의 교통시스템에 인공지능을 갖추어 정보를 제공하고, 그 정보를 통하여 교통시설이 상황에 따라 자동 제어되어 이용자에게 최대한 편의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도로, 차량, 신호시스템 등 기존 교통체계의 구성요소에 전자, 제어, 통신 등 첨단기술을 접목시켜 교통시설의 효율을 높이고, 안전을 증진하기 위한 차세대 교통 시스템이다.

 

미국, 일본 및 유럽 선진국들은 이미 지난 1980년대부터 첨단 통신, 전자기술과 도로공학을 결합한 ITS 관련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 미국의 경우 1980년대 후반까지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형식으로 추진되었으며, 1990ITS America를 구성한 이후 본격적으로 시스템 구축이 추진되었다. 일본은 1994년에 건설성, 우정성, 통산성, 운수성, 경찰청 등 ITS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VERTIS(vehicle, road and traffic intelligent system)라는 협의체를 설립하여 관련 프로젝트를 통합적으로 추진하였다.

 

20126월 국토해양부는 도로교통 분야 ITS의 개발·보급 촉진을 통한 저비용·고효율의 미래형 스마트 교통SOC 구축을 위해 자동차·도로교통 분야 ITS 계획 2020’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생활형 스마트 도로교통 구현의 비전 아래, 지속가능한 ITS 정책 추진과 관련 산업 성장을 통한 안전한 도로, 편리한 도로, 고효율 녹색 도로의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정보가 인터넷 상의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데스크톱·태블릿컴퓨터·노트북·넷북·스마트폰 등의 IT 기기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에는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컴퓨터 환경이다. 즉 이용자의 모든 정보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각종 IT 기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에는 IaaS, PaaS, IaaS등의 분야에서 클라우드 이용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이며, ITS를 클라우드에 접목하는 연구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저자
K.Ashokkumar, Baron Sam, R.Arshadprabhu, Britt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50()
잡지명
Procedia Comput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58~63
분석자
심*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