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생성제가 CRT 유리의 결정화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은 전면 유리(panel)와 후면 유리(funnel) 및 넥(neck)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면 유리에는 바륨과 스트론튬 함량이 많고 후면 유리는 20∼25% 납을 함유하고 있다. 납이 많이 함유된 부분은 건강상 문제이든 실용적인 목적이든 납을 회수하려는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
○ CRT 패널 유리에는 바륨과 스트론튬 함량이 많다. 폐 CRT 유리는 콘크리트 블록, 점토 벽돌, 경량 발포 세라믹, 타일, 유약, 인조대리석, 유리섬유, 글라스 비드, 병 유리, 판유리, 에 활용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지금 패널 유리는 벽돌과 타일 및 다포 유리의 융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또 폐 CRT 유리를 X-선 차폐재로 사용하기도 하고 유리-알루미나 복합제로 사용하려고 하였다.
○ 결정화 유리는 유리를 정해진 조건으로 열처리하여 결정화하여 제조한다. 결정화 유리 안에 있는 결정은 남아 있는 유리에 둘러싸여 인장 혹은 압축 응력을 받으며 응력에 따라서 결정이 뒤틀린다. 화학식을 Ba2(TiO)Si207로 표시하는 Fresnoite는 정방정계에 속하는 결정으로 초전성, 압전성, 표면탄성파 및 광학적 비선형성 등의 특성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 본 연구에서 패널 유리에 핵생성제로 TiO2와 ZrO2를 첨가하여 결정화 유리 제조를 연구하였다.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하여 자세 조사하였으며 TiO2를 첨가한 CRT 유리의 표면 결정화로 fresnoite 결정화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우리나라에서는 CRT 유리를 생산하지 않지만, 사용이 끝난 CRT 유리는 상당히 남아있다. 현재 폐 CRT 유리 재활용 처리 관련 국내 재활용 업체는 적어서, 발생한 폐 CRT 유리는 전량을 수출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수거되는 CRT 유리를 부위별로 분류하여 재활용하면 유용한 재료로 다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M. Rebe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425()
- 잡지명
-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18~123
- 분석자
- 김*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