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산균 L. paraplantarum의 EPS 생산균주와 창자상피세포 병원균 간의 길항작용

전문가 제언

탄수화물의 발효로 유산을 생산하는 유산균(LAB)은 오래전부터 낙농, 식품, 제약 등의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온 박테리아이다. 유산균은 근래에 알려진 세포 밖으로 다당류(Exopolysaccharide, EPS)를 분비하는 능력 때문에 산업에서 특별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EPS는 산업에서 요구하는 특정한 물리화학적 특성 때문에 상당한 상품가치를 가지고 있다. 식물세포와는 달리 EPS는 박테리아의 세포벽에 박혀 있는 것이 아니고 근처 외부로 분비되어 점액상태를 형성한다. 유산균에서 EPS를 생산하는 균주들은 요구르트, 치즈, 유산균우유 등의 식품생산에 사용된다.

 

다양한 종류의 EPS 사용범위는 이를 구성하는 단당류들, 이들을 연결하는 결합의 유형, 분지형성의 정도, 분자량 등에 좌우된다. EPS는 발효식품의 유동학, 감촉 등 식품의 품질에 중요한 역할을 할뿐 아니라 항암활성, 면역조정 생리활성, 혈중콜레스테롤 감소 등 인체건강에도 유익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LABEPS 생산은 균주의 종류, 배지의 구성, 배양온도, pH, 산소분압, 배양기간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르다. 본고의 원문은 소화기관에서 질병, 식중독 등을 일으키는 병원균과 Lactobacillus paraplantarumEPS 생산균주의 길항작용을 연구하여 유산균의 항균작용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이다.

 

인체 소화기내장에는 그람음성 박테리아들이 대부분 무해한 공생체로 살고 있다. 그러나 인체에 독성을 분비하는 병원성 박테리아에 감염되면 식중독, 설사 같은 심각한 질병을 일으킨다. 본 원문 연구에서는 Clostridium difficille, Salmonella enterica 등을 포함하는 7개의 병원성세균 균주들과 EPS 생산 및 비생산 유산균 균주들의 길항작용을 창자상피세포 주 HT29-MTX의 단층배양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상피세포에서는 면역신호물질 IL-8, 뮤신 같은 점성물질을 분비한다.

 

국내에서 유산균-병원균-숙주의 상호작용 연구는 전북대학에서 2013년에서 2020년까지 수행되는 BK21 플러스사업팀에서 하고 있는 분자수준의 연구를 대표적인 연구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저자
Milica Zivkovic,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74()
잡지명
Food Research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99~207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