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HIV 백신 개발의 최근 동향

전문가 제언

HIV는 그 실체가 구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백신 개발은 여전히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있음에 따라 HIV 감염에 대한 대비는 소위 Anti-Retroviral Therapy(ART)라는 약물요법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 5개 유형의 25종 약물이 허가되어 있다. ART는 완전한 치료 요법이 아니며 오랜 기간의 투약을 요구하고 부작용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HIV 백신을 개발하려는 노력은 HIV의 다양성, HIV 게놈의 숙주 게놈 속으로 통합, 항바이러스 면역반응을 끈질기게 기피하는 HIV의 능력 등으로 인해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태국에서 실시된 RV144 임상시험을 통해 2009년 광범위 중화항체(broadly neutraling Antibody: bnAb)가 발견되면서 획기적 전환점이 마련되었다. RV144 임상연구에서 드러난 가장 핵심적 중화항체는 VRC01, VRC02로 밝혀졌다.

 

선진국에서는 성공적 HIV 백신 개발을 위해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그 결과 최근 2년간 bnAb의 분리와 함께 HIV-감염 T 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 이례적인 CD8 반응의 발견, 보존적인 T 세포 항원결정기 백신의 설계, HIV 바이러스 돌연변이의 다양성과 bnAb 성숙의 공진화의 입증, HIV Env 삼량체 구조의 해명 및 항원결정기 기반 Env 면역원의 설계 등의 측면에서 발전이 이뤄졌다.

 

국내의 경우 HIV에 의한 후천성면역결핍증을 3군 감염병으로 분류하고 감시사업을 하고 있다. 과거 HIV 예방백신 후보(AIDSVAX)의 생산 시설을 국내에 갖추려 했으나 3상 임상시험의 실패로 무산된 바 있고 DNA HIV 치료백신(GX-12)이 조합치료용으로 개발이 시도되었었다. Sumigen사의 사백신(SAV001-H)에 대한 20131상 임상연구에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원천기술을 위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다.

 

이 총설의 저자들은 지난 2년간 HIV-감염 T 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 이례적인 CD8 T 세포 반응의 발견 등으로 HIV 백신학자에게 bnAbs를 유발할 면역요법 개발에 희망을 안겨주었으며, 궁극적로는 가장 보호적인 HIV 백신은 십중팔구 T 세포-유발 및 항체-유발 백신후보와 적합한 면역보조제 제형의 조합을 요구할 것이라고 하였다.

 

저자
Barton F Hayne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5()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9~47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