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매스 원료의 수압배관 수송기술

전문가 제언

바이오매스는 화석연료의 대체에너지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많은 대체에너지들 중에서 특히 바이오매스에너지는 석유나 천연가스처럼 지구의 특정지역에 편재하여 있지 않고 지구 전역에 분포해 있다. 그러나 자원의 과잉개발은 심각한 환경 및 에너지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을 저하시키고 있고 장거리 수송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바이오매스의 친환경적인 첨단 수송기술이 개발되면서 대규모 바이오매스 원료의 저장과 수송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배관망을 이용한 바이오매스를 수압 배관수송 하는 기술은 대용량의 바이오매스를 수송할 수 있는 경제적인 방법으로서 도로나 강 또는 바다를 통한 전통적인 수송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바이오매스 수압배관 수송기술을 활용함으로서 원료손실과 수송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바이오매스 원료를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시설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바이오매스 슬러리 액체의 수송시스템을 위해서는 배관 내 바이오매스 입자의 분포와 유동화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특히 바이오매스 수압배관 수송기술의 이론적인 기반을 구축하고 설계 기술을 확립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마찰손실, 슬러리의 유동특성, 고체입자의 분포상태 등을 연구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전환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한 바 있으나 바이오매스 원료의 수송기술을 다루지는 않았다. 우리나라는 40-50년 동안 산림 녹화사업에 성공하여 전국토의 어딜 가더라도 산림이 우거져 있다. 이들 울창한 수목은 향후 바이오매스에너지 생산을 위한 좋은 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목재칩(wood chip) 슬러리의 액체상태 대량 수송을 위한 수압 배관수송 기술에 대한 설계 및 시스템 운영기술을 지금부터 확립해나갈 필요성이 있다.

 

저자
Mahdi Vaez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81()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0~82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