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제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계면활성제는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널리 존재하는 비누?샴푸?린스?섬유 유연제 등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 범위가 매우 넓다. 이외에도 고무?플라스틱 공업용, 기계?금속 공업용, 농약 공업용, 섬유 공업용, 식품 공업용, 안료?도료 공업용, 의약?화장품 공업용, 제지?펄프 공업용, 피혁 공업용 등의 각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폴리비닐피리딘이 부분적으로 4차 암모늄염으로 된 화합물과 같이 고분자화합물에서 계면활성제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 있으며, 이것을 고분자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 비누(poly soap)이라고 말한다. 계면활성제 중의 알킬기의 탄소 수, 분지도, 친수기의 위치, 폴리옥시에틸렌기의 개수 등과 계면활성제의 기포성, 세척성, 유화성, 습윤성, 침투성과의 관계 등도 상세히 조사되고 있다.
○ 실용상의 계면활성제에는 대체적으로 빌더가 포함되어 있으며, 계면활성제의 작용에 커다란 영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많지만, 각종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유용성 계면활성제로서 이용되는 것도 있다.
○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1960년대 후반기에 시작된 탄화수소 발효의 연구도상에서 발견된 이래, 잠시 동안 생분해성이나 안정성이 우수한 즉, 지구에 우수한 계면활성제로서 응용연구가 주류였다. 특히, 최근의 바이오테크놀로지의 비약적인 혁신이나 주변기술의 진보에 의하여 폭넓은 실용화를 향한 코스트다운 등이 충분히 가능하리라고 생각된다.
○ 안전하고 값싸게 대량생산이 가능한 바이오 계면활성제에는 새로운 기능성 바이오소재로서 각종 첨단기술 분야에서 앞으로 보다 커다란 활약이 기대된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기존의 계면활성제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국내 연구소를 비롯하여 대학에서도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친환경적이고 생분해성이 우수한 계면활성제의 연구개발이 기대된다.
- 저자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38576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2
- 분석자
- 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