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열중성자로 및 혼성 원자력 시스템 활용 232Th 폐쇄 핵연료주기 특성

전문가 제언

토륨 핵연료주기는 핵연료 원료인 232Th 동위원소를 중성자 포획으로 핵분열성 동위원소인 233Th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서 핵연료 이용도가 높고 폐기물 발생과 핵무기 확산에 관련되는 문제성이 적다.

 

한편, 토륨 핵연료의 이용도가 백년 천년까지도 지속될 수 있는 반면에 현재의 열중성자를 이용할 경우, 우라늄 자원이 향후 50년 만에 고갈될 것으로 추정되는 현 시점에서는 토륨 핵연료주기에 대한 지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혼성/핵분열/핵융합 시스템의 연결 운전 및 표준 열중성자로에 대한 중요한 기술 사안들과 함께 MCNP(Monte Carlo N-Particle) 중성자 수송 코드가 사용되어 두 시스템 모두에서 233U 소모·생성에 관한 거동이 각 원자로에 대한 Th/U 공급 비율의 함수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열중성자로 공급에 유용한 농축도 범위가 1.7%2.25% 사이이며 이 범위 내에서 증식로 공급용 농축도가 233U의 소모·생성 비율이 동일하게 되고, 핵분열성 동위원소의 관점에서는 이 주기가 순수한 생성·소모가 없어서 폐쇄적이며 핵분열성 물질 증식에 사용된 양을 보상하기 위해 232Th 공급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부터 개정이 시작된 한미 원자력협정의 최근 결과가 일단 국내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 발전에 도움이 됐다는 것이 공론으로 특히 파이로-프로세싱(pyro-processing)으로 알려진 사용후핵연료 건식 재처리 기술이 세간의 관심을 받게 됐다.

 

반면, 아직 핵연료 이용도가 높고 폐기물·핵무기-관련 문제성이 적은 토륨 핵연료주기에 대한 정책은 추진된 바가 없다. 핵연료 원료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도 핵연료 경제성이 큰 토륨 핵연료주기에 대한 연구개발이 보다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M. Perez-Gamboa, M. Nieto-Perez, S. Mahajan, P. Valanju, M. Kotschenreuther, J.L. Francoi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83()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35~143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