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땅콩품종의 품질특성과 영양 및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유용성
- 전문가 제언
-
○ 본고는 영양가 높은 식품으로 알려진 땅콩에 대해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중요성에 대해 보고했다. 41종의 인도 땅콩 품종에서 기름, 지방산 프로필, 수크로오스, 라피노오스 족 올리고당에 대해 분석하였고. 페놀 및 항산화 능력과 함께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도 조사하여 땅콩의기능성 육종연구와 땅콩 소비자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 하였다.
○ 땅콩은 지역에 따라 호콩, 왜콩이라고 부르고 땅속에서 열매를 맺는다고 하여 낙화생(落花生)·낙화송(落花松)·지두(地豆)라고도 하며 남경두(南京豆)·향두(香豆) 등의 별칭을 가지고 있다. 원산지는 브라질을 중심으로 한 남미대륙이다. 지방 45%, 단백질 30% 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B1·B2도 들어 있어서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다.
○ 2015년 9월 1일 한 잡지에서 땅콩을 콩나물처럼 발아시켜 키우면 열량은 1/7, 지방 함량은 1/13로 감소하고 항산화 물질인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은 90배 증가하고 뿌리 부분에 있는 사포닌이 홍삼의 6배 증가한다는 보고 하였다.
○ 국내 땅콩연구로는 “생장 조절제와 광 조건이 땅콩 나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2014)을 발표했고, “땅콩 나물 분말 첨가가 대두 요구르트의 품질 및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2013)”에서 요구르트의 항산화 활성은 1.0% 이상 땅콩 나물 분말 첨가로 항산화 활성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기능성을 확인했다. 특히, 인도에서는 대두 대체한 땅콩유(miltone)가 대중화 되었고 땅콩 요구르트 제품을 개발할 때 기능성 및 기호도 향상에 가장 적합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 땅콩은 간단한 볶음으로 낱알을 그냥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식품으로 특이한 향미가 있어 식품가공품의 원료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땅콩의 위생 안전성을 확보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변질땅콩에서 아플라톡신(맹독성 곰팡이독소)이 발견되기 때문에, 땅콩 낱알 중에서 생육이 미진하고 불량한 것을 가공 전에 선별 제거하는 기술과 엄격한 품질규격 설정과 준수가 요구된다.
- 저자
- S.K. Bish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167()
- 잡지명
- Food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07~114
- 분석자
- 김*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