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도 가상화 시대로

전문가 제언

스마트 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기기의 급격한 진화와 이에 따른 사용자의 증가로 모바일 네트워크를 흐르는 통신량이 계속 급증하고 있다. 미래의 기기에는 고화질 동영상 및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의 콘텐츠 이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모바일 네트워크는 기존의 사람 간을 연결하는 용도 외에 물건과 사람 또는 물건과 물건을 잇는 이IoT(Internet of Things)에도 용도가 확대될 것이다. 향후 전 세계의 모바일 통신량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약 160% 증가가 예상된다.

 

2020년의 모바일 네트워크는 급증하는 통신량을 보다 효율적·효과적으로 수용하는 새로운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를 변혁해 시스템 전체의 효율화와 통신용량의 확대를 도모하는 C-RAN(Cloud Radio Access Network)의 실현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 글은 기존 아키텍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되고 있는 C-RAN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C-RAN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무선자원의 가상화를 실현하는 기술을 소개한다.

 

C-RAN세계 주요 통신사 대부분이 참가하는 등 차세대 기지국 장비의 아키텍처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세계 선진 각국과 유수의 통신 업체들은 2020년 이후의 5G(Generation) 이동통신을 주도하고 그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C-RAN 등 선도적인 연구수행 및 솔루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SKTSCAN(Smart Cloud Access Network), KTCCC(Cloud Communication Center), LG유플러스가 C-RAN 기반의 통합형 다중형식 기지국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5G에서 주로 무선 부분의 광대역화 기술에만 중점을 두고 있고 코어 네트워크 부분에 대한 연구나 솔루션 개발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우리나라가 5G 이동통신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C-RAN에 의한 무선자원의 가상화 등 코어 네트워크 부분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 구조와 관련 요소기술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산학연 연구체제를 구축하고 세계 유수의 관련 회사와 협력 등을 통하여 표준화와 기술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저자
Ikegawa Masa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98(5)
잡지명
電子情報通信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03~408
분석자
신*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