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음악정보 해석기술의 응용 서비스

전문가 제언

세계 음악시장은 인터넷 및 모바일 관련 인프라의 진전에 따라 음원 소비 방식이 다운로드에서 스트리밍하여 즐기는 클라우드형 서비스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에서는 대세로 자리를 잡고 있다. 이러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음악을 즐기는 방법도 변화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처로 음악정보 해석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세계의 음악 전송 서비스 회사는 음악정보 해석 기술을 적극적으로 서비스에 적용하여 음원 서비스의 차별화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음악정보 해석은 악곡의 음향적 특징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 외에도 Web 정보 등을 수집해 악곡이나 음악가의 메타 정보를 추론하는 기술과 음악 전송서비스의 이용 이력 해석 등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도 듣고 싶은 악곡이 흘러나오는 서비스도 기대되고 있다. 글로벌 회사인 Pandora, Spotify, Google 등은 이러한 음악정보 해석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은 맞춤형 서비스를 시행함으로써 음악서비스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국내의 경우 멜론, 지니 등 일부 음원 회사들이 최근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음악 해석기술을 개발하여 맞춤형 음악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NHN은 스마트폰용으로 네이버 음악검색기술을 개발하여 서비스 중이다. 또한 정부기관과 대학을 중심으로 허밍검색 시스템과 감성기반 음악 추천기술 등을 개발하여 각각 상용화한 실적이 있다. 그리고 대학에서 검색 기술에 대한 연구논문 등이 발표되고 있지만 음악해석 기술의 연구 기반과 투자가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디지털 음원 시장(2012)에서 5.4%4위의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글로벌 음원 회사인 AppleGoogle의 국내 진출이 예정되어 있어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국내 디지털 음원 시장을 지키고 향후 국내 회사의 글로벌 진출을 고려할 때 첨단 음악해석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국내 개발 방안과 최신 기술을 가지고 있는 해외 벤처를 인수하거나 해외 유수 연구기관과의 제휴를 통해서 기술을 확보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저자
Hoashi Keiichir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98(6)
잡지명
電子情報通信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80~486
분석자
신*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