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클라우드-사육주와 애완동물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빅 데이터 활용
- 전문가 제언
-
○ 애완동물은 인간의 반려동물로서 가족과 같은 차원에서 양육하는 동물을 말한다. 그러나 애완동물이라는 말이 무색 할 정도로 유기동물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애완동물의 보호를 위해, 버려진 동물을 찾거나, 건강관리와 질병예방 등 동물 의료서비스, 또는 여행 중의 동물이 투숙할 수 있는 호텔 물색 등과 같은 동물전용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등 빅 데이터를 활용한 애완동물 IoT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 후지쓰는 ICT를 활용하여 사회가 안고 있는 이런 과제를 해결하고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소셜 이노베이션의 실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사육주와 애완동물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동물 클라우드”에서 빅 데이터 활용 사례를 소개하였다. 아니콤홀딩스(주)와 협업으로 정보 수집을 위한 기반형성이나 정보의 입력 인터페이스로 동물병원용 전자기록카드“아니레세F”의 개발을 통해 동물 클라우드서비스를 위한 동물병원 진료정보의 수집 및 관리, 통합 분석결과를 빅 데이터로 활용하여 동물의료에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관련 동향으로 애완동물의 목걸이에 GPS를 달아 위치를 파악하고 매일의 행동궤적을 추적하여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브라질의 스타트업 `PinMyPet`, 미국의 맥 클라우드로 애완동물 동반가능 호텔 물색 서비스,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IoT 서비스로 미국 AT&T의 FiLIP, 일본 NTT도코모사의 Pet fit, 한국 SKT의 Pet 서비스로 반려견이 있는 곳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주인에게 알려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15년 7월)와, 셀레지온과의 합작을 통해 2015년5월 출시된 건강관리서비스모델로 SKT Cellizion T-pet 모델(CPT- 2000)등이 있다.
○ 한국 정부에서도 수많은 애완동물의 분실 및 유기를 방지하기 위해 동물등록 원스톱시스템 구축을 통해 동물병원 어디에서도 RFID 태그를 이용한 애완동물 등록이 가능하고 등록 빅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등록제(2014년 4월,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시행규칙)를 실시하고 있다. 향후 이의 실효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며, 스마트폰에 의한 실시간 연계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본다.
- 저자
- Kouichi AMANO, Akira IMABAYASH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66(4)
- 잡지명
- 雜誌FUJITSU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98~104
- 분석자
- 권*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