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간행동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폰 감지기술의 진화

전문가 제언

이동전화기의 발달은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일상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스마트폰을 출현시켰다. 스마트폰은 이제 매우 진보된 컴퓨팅 기능과 GPS 수신기능과 센싱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최근에는 관성측정유니트(IMU: Inertial Measurement Unit)와 자이로스코프, 자력계, 기압계 등을 갖추고 착용모니터(WAM: Wearable Ambulatory Monitors)기능도 갖추게 되어 보행자의 심장박동과 혈중산소포화농도도 멀리서 체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더욱더 기능이 첨예화 되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임상의사는 거동이 불편한 만성 질환자들과 연결고리를 만들 수 있다. 스마트폰의 유비쿼터 기능은 인간행동을 원격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됨으로써 WAM을 사용해서 생기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비용지출을 안 해도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센서들을 정리하고 인간행동을 인식하는 알고리즘 진화과정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미래의 이동통신 플랫폼을 전망하였다.

 

한국의 반도체기술과 이동통신 선진국 위상은 스마트폰 세계시장 점유율과 이용보급률이 입증하고 있다. IDC 20151Q 보고는 스마트폰 세계시장 점유율이 삼성(24.5%)1위이고 애플(18.2%)2위이며 5위가 LG 전자(4.6%)이다. 4세대(4G) LTE 국가별 2015(Q3)년 보급률도 한국이 1(97.0%), 2위는 일본(90.0%)이다. 한국의 스마트폰 제작기술과 정보통신환경은 제4세대(4G) 이동통신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행동 인식 시스템 연구는 대학, 의료기관, 기업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울산대의 박상경 연구팀의 스마트폰의 관성센서연구(Ref.24), 충남대 황동환 연구팀의 보행자 인식시스템 연구(Ref.38), 경희대의 김태식 연구팀의 가속도계 센서(Ref.60), 경희대 한만형 연구팀의 멀티모달 센서를 이용한 인간행동 인식(Ref.122)연구 등이 이 논문을 구성하는 주요 자료로 사용되었다. Apple‘HealthKit'와 삼성의 ’S Health' 전략은 스마트폰이 미래 정보화 사회에서 핵심적 도구가 될 것을 시사하고 있다.

저자
Michael B. del Rosario, Stephen J. Redmond, Nigel H. Lovel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15()
잡지명
Sensor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8901~18933
분석자
윤*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