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카 폴리머를 이용한 히스타민 흡착제 개발
- 전문가 제언
-
○ 필수 아미노산인 히스티딘(Histidine)은 여러 가지 단백질 속에 함유되어 있는데, 혈액의 헤모글로빈에 가장 많은 약 11% 함유되어 있다. 어린이나 쥐에서는 필수아미노산이지만, 성인은 체내 합성된다. 이것이 부패, 발효하여 탈탄산 반응이 일어나면 유독한 히스타민이 된다.
○ 가장 효과적인 항산화제로 각광받고 있는 히스티딘은 세포막의 지방성분에 해가 되는 지방 과잉산화를 막아준다. Histidine은 순환기계의 모세혈관 투과성을 항진하는 histamine 합성의 필수성분이다. 급원은 쌀, 밀가루, 귀리, 등푸른생선에 많다. 식품 100g중 함유량은 효모 979, 볶은 땅콩 1378, 황다랑어 2100, 맥주효모 1400mg이다.
○ 히스티딘의 기능성은 히스타민 합성의 전구체로서 성기능 강화작용, 위산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능을 증강하고, 혈압을 올리고, 폐 기관지 근육을 강화한다. 비타민B3, B6 존재하에서 히스타민으로 잘 전환된다. 조직의 성장과 수복에 필수적이므로 유아 성장에 필수 아미노산이다. Histamine과 histidine은 chelating 작용이 있어 구리 등 미량 무기질과 결합하여 중금속의 배설을 촉진하고, 신경세포를 보호한다. 면역 강화로 AIDS 발병의 지연, 혈압강하, 빈혈치료 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 간장이나 어간장의 발효과정에서 히스타민이 생성되면 제거는 불가능하고 고농도의 히스타민은 알레르기나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어간장 중 히스타민은 CODEX에서 400mg/kg 이하, 미국은 500m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식품 중 히스타민 농도 기준은 설정되어 있지 않다. 이는 오랜 발효식품의 식습관에 의해 1,000mg/kg 정도를 중독 한계로 보고 있다.
○ 본고에서 실리카겔에 여러 가지 중합도를 가진 폴리아크릴산을 고정화시켜 히스타민에 대하여 특이적 흡착제를 개발 사례를 소개하였다. 조제된 폴리아크릴산 고정화 실리카는 간장 중 히스타민의 흡착 제거율이 실리카겔보다 중합도에 따라 17~20% 향상된다고 하였으나, 탈취제로 사용되는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와의 효능비교, 제조비용 등 실용성에 대한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Takao Satoh, Shigeki Matsud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41(4)
- 잡지명
- 醬油の硏究と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59~263
- 분석자
- 최*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