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자석 스크랩으로부터 희토류금속 분리?회수프로세스
- 전문가 제언
-
○ 희토류자석은 매우 높은 보자력(자석으로서 끌어당기는 힘)을 갖는 자성재료로서 희토류 원소와 코발트의 합금이 주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희토류 원소를 함유한 경자성 재료(영구 자석용 재료)로서 만들어진 자석을 희토류 자석이라고 하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 사마륨ㆍ코발트 자석, 네오디뮴ㆍ철ㆍ붕소의 희토류 소결자석 등이 있다.
○ 하이테크산업발전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전을 보이는 가운데 희토류자석의 등장은 기술혁신을 촉발하였다. 즉, 고성능자석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소형의 자석으로 강한 자장을 얻게 되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자기손실도 대폭 억제되어 경제성과 효율정을 증대할 수 있게 되었다.
○ 특히, 네오디뮴(Nd)자석은 산업용로봇, 풍력발전기, 하이브리드카, MRI , HDD 등의 주요 기기에 사용되어 각광을 받고 있을 뿐 아니라 근래에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자원은 현재 북미의 마운틴패스광산의 바스트네사이트와 중국 화남지역의 이온 흡착광이 주요광산으로 편중된 상태로서 여타국의 탐광이 적극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일본은 희토류자원은 빈약하지만 희토류금속을이용한 각종기술의 선두에 있고, 네오디뮴자석의 제조량은 2010년 현재 14,000톤으로 절대적인 우세를 보이고 있다. 그 뿐 아니라 네오디뮴을 대체할 새로운 자석을 개발에 골몰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 우리나라는 희토류광물 생산이 전무할 뿐 아니라 정제 기술 낙후로 국내 수요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수입된 중간화합물은 최종제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희토류 원료를 이용한 국내 응용부문 수요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 국내에서 확보중인 응용기술 및 설비는 형광체 및 경희토류 정광을 가공한 연마제 생산 등에 불과하나 향후 수요증가 가 예상되는 영구자석, 수소저장합금 및 Ce 고급연마재 등의 응용기술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 저자
- Hirokazu Konish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66(9)
- 잡지명
- 化學工業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03~707
- 분석자
- 신*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