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B 전착박막과 Ni?B 금속기지에의 나노다이아몬드 복합도금
- 전문가 제언
-
○ 크롬은 음극의 전류밀도가 현격히 낮기 때문에 8~16%만 전착된다. 이외에도 전기도금 공정에서 많은 유독가스가 발생하는데, 장기간 생물이나 인체에 축적되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이러한 6가 크롬도금을 대체할 도금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 2015년 중국의 Yu Liang 등은 크롬도금 대체용 고경도 Ni-B 복합도금층의 구조와 내마모성을 밝혔다. 니켈기반 도금피막의 결정립을 미세화시키고 경도를 높이기 위해 디메틸아민보란을 니켈도금 피막 내부에 전착시켰다. 전착된 Ni-B합금도금을 전착시켜 열처리한 후의 경도와 내마모성은 크롬도금 피막과 동등한 것으로 알려졌다.
○ 니켈-보론 합금도금이 비록 경도와 내마모성이 향상되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크롬도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Ni-P/다이아몬드, Ni-W/다이아몬드, Ni-P/SiO2와 Ni-W/Si3N4 복합도금과 같은 금속이나 합금기지에 2차상 입자의 복합도금 피막공석이 필요하다. 2010년 영인플라켐사는 니켈-보론 복합도금의 조직, 경도와 탄성계수에 미치는 경도와 내마모성에 관한 특허를 공개하였다.
○ 2015년 중국의 Ye-Sheng Li 등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300℃에서 열처리한 Ni-B도금피막이 가장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탄성계수에 대한 경도의 비가 높은 Ni-B도금피막이 마모와 피로에 대하여 뛰어난 내마모성을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오일 윤활조건에서 탄성계수에 대한 내마모성을 반영하는 경도의 비가 Ni-B도금피막 제조에 있어서 최적의 매개변수로 밝혀졌다.
○ 2010년 현대기아자동차사는 내마모 내식성 향상 도금기술연구와 함께 러시아에 자동차공장의 설립을 기반으로 2015년 멕시코, 브라질 현지에서 자동차를 제조하여 공급중에 있다. 이에 니켈-보론 도금액 개발을 위한 작업조건, 첨가제 제조 등의 핵심기술 정보의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 저자
- Othon R. Monteiro, Sankaran Murugesan, Valery Khabashesk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272()
- 잡지명
-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91~297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