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포 접착현상을 이용한 바이오재료

전문가 제언

1990년대부터 연잎을 모방한 초발수 표면 연구가 왕성하게 연구되어 왔다. 21세기 들어와 세계적으로 바이오 미메틱스(bio-mimetics; 생물모방기술) 붐의 영향을 받아 최근에는 물뿐만 아니라 기름이나 유기용제와 같은 낮은 표면 에너지 액체와 같은 고점도의 에멀션을 반발하는 표면의 개발이 세계 중에서 진행되고 있다.

 

본 문헌에서는 세포의 접착메커니즘과 생체 내에서의 역할, 더욱이 바이오재료(biomaterial) 개발로부터 본 세포 접착현상의 유용성에 대하여 해설한다. 세포 접착 메커니즘과 기능의 해명은 분자생물학과 세포생물학의 오랜 연구의 성과이다. 아직 분명히 밝히지 못한 부분도 있다. 계속 많은 지식이 발전되고 보고되고 있다.

 

생물은 가혹한 자연환경에 적응하기 때문에 오랜 진화의 과정에서 그 표면/계면(접착 성능)을 고도로 발달시켜 경이적인 기능을 획득해 왔다. 예를 들면 소금쟁이의 수 표면 보행 능력, 사막에서 사는 거머리의 물 수집 기능, 생선 비늘의 방오 기능, 식충식물 내벽의 고윤활성, 톡토기 체표의 내압성 발수 기능 등이 있다.

 

생물이 만들어내는 특이한 표면과 그것을 응용한 표면처리에 대하여 최근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표면의 기능성 발현은 화학적인 구조특이성이라 말하기 보다는 형태학적인 구조의 재구성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전부이다. 이러한 종류의 재료가 스마트 계면재료라 말할 수 있는 이유이다.

 

용도나 특화된 접착제 분야는 점차 한국에서도 크게 확대되고 있다. 이는 자동차, 전자, 정보기술 등의 산업분야에서 한국이 세계적으로 차지하는 역할을 대변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분야를 보면 디스플레이용, TSP, 전자부품용, 자동차용, 모바일용, 단백질 기반 의료용, 편광필름용 등의 고부가가치 점, 접착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저자
Tetsuji Yamak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51(5)
잡지명
日本接着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51~156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