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접착과 수중접착
- 전문가 제언
-
○ 접착 작업은 누구라도 간단히 행할 수 있는가, 어느 대상을 어느 정도 접착시키고 싶은가 등의 욕구가 접착제의 고성능화, 다기능화, 접착에 관련한 과학을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과거의 접착 개념과는 다른 접?점착제가 고안되고 있다. 접착과 계면의 관계에만 국한시키면 가장 중요한 계면 화학물성은 “젖음성(wettability)"이다.
○ 접착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많은 인자가 결합된 접착의 복잡한 현상이다. 본 문헌에서는 물속에서 부착되어 있는 생물 중에서도 분자 레벨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홍합과 따개비를 중심으로 생물의 접착 계면 디자인에 대하여 살펴본다.
○ 수중 접착이 부여하는 영향은 결코 작지 않다. 의료 현장에서는 중요한 기술이 될 것이다. 그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재료를 물로 씻어 곧 접착시키는 경우도 많다. 제조 현장이 크게 바뀌는 것은 한두 가지가 아닐 것이다. 단백질과 펩티드를 디자인하여 그 분석을 통해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 그 핵심을 배울 필요가 있다. 또한 그것을 대담하게 고분자 디자인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국내외적으로 화학 소재를 기반으로 한 점, 접착제가 첨단 제조업의 필수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이종 소재 간 결합과 접착기술 복합기능을 구현하는 소재, 생분해성 등 환경대응형 소재 등이 주목받고 있다.
○ 지금까지 다채로운 응용이나 신규 접착제가 개발되고 접착 분야의 충실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 전개되고 있는 접착이론의 본질은 전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표면?계면 해석기술과 나노기술의 진보가 현저하다. 표면?계면을 원자 레벨?나노 오더로 관찰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것으로부터의 접착을 말하기 위해서는 이들 주변 기술의 진보에 보조를 맞춰 접착을 새로운 시점으로 과학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 저자
- Kei Kamin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51(7)
- 잡지명
- 日本接着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75~380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