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냉연강판의 인산염처리 특성에 미치는 표면상태의 영향
- 전문가 제언
-
○ 냉연강판은 표면이 미려하고 가공성이 우수한 소재로 자동차,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정용품에서부터 산업기기, 각종 건자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따라 현대사회의 필수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냉연강판을 소재로 내식성 및 도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연도금한 후, 보다 도장 밀착성과 균일성 향상 목적으로 인산염 피막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 2010년 일본의 Kobe Steel사에서는 실리콘이나 망간을 다량 첨가한 강판에 있어서 이들 원소의 조성비에 따른 강판 표면의 인산염 결정생성 반응의 장애가 되는 실리콘 함유 산화물이 인산염처리 특성을 떨어뜨린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대하여 K. Mochizuki는 열처리 온도를 제어하여 실리콘이나 망간 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2010년 H. Ishii는 인산염 결정의 형성은 인산염처리액 중의 강판 용해반응에 기인한다고 보고하였다.
○ 2008년 동부제철에서는 냉간 압연된 코일을 전해산세 라인에서 표면오염을 제거하고 어닐링 로에서 600℃에서부터 850℃까지 가열한 후 가공성을 확보하여 조질 압연공정을 통해 표면 마무리와 형상을 개선하였다. 2010년 한양대학교에서는 도장강판의 내식성에 미치는 인산염 피막의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를 한국부식학회지에 게재하였다.
○ 2005년 오성케미칼사는 자동차 윈도우, 연료밀봉 고무부품에 밀착성 향상 목적으로 인산염처리를 기반으로 Chem Lock기술을 개발하였다. 2015년 현재 이 회사는 인산염이란 다중 인산염(polyphosphate)이나 축합 다중 인산염(condensed polyphosphate)의 무수물 형태(dehydrated form) 화합물로서 무기 인 화합물을 기초로 개발공급하고 있다.
○ 아연도금 와이퍼, 엔진 브라케트, 너클, 핀에 인산염 처리를 하고 있는 진일써핀사는 인산염 처리 후, 흑색크로메이트 처리를 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2015년 현재 도장밀착성 향상 목적으로 인산염기반의 3가 크로메이트 처리기술도 개발중에 있어 향후 도금기술정보 제공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Hiroyuki MASUOK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66(8)
- 잡지명
- 表面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72~376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