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구조 센서의 생의학 응용 동향

전문가 제언

질병 예방과 암 치료는 물론 개인맞춤형 치료, 원격진료, 모바일 핼스케어와 같은 의료 기술의 진화로, 센서와 백신 관련 생의학 분야에서 나노 기술의 역할이 크게 증대하고 있다. 분자 생물학과 나노기술 분야에서 현저한 발전으로 감도와 특이성이 더 높고, 소형화와 자동화된 현장 디바이스가 특허화되고 상용화되고 있는 중이다.

 

나노입자의 높은 표면 대 체적 비율과 고유 특성은 광학, 전기 및 전기화학 바이오센서에 의한 센싱 생물분자의 상호작용을 크게 증강한다. 더구나 자동화 및 소형화 될 수 있는 진단 시스템은 덜 복잡한 프로토콜을 요구하는 야외 환경에 이용될 수 있는 막대한 이점을 제공한다.

 

바이오센서의 세계 시장은 연구실용, POC(Point Of Care), 자가진단, 산업 공정, 환경, 군사 분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중 POC 부분의 시장 경쟁이 가장 치열한 가운데 Roche, Abbott 등 선진국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이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소형화, 저비용의 첨단 현장탐지 및 진단 시스템 분야에서 더욱 치열한 국제 경쟁이 예상되며, 센서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나노-기반 기술의 응용이 더욱 확대될 것이다.

 

국내의 BT, IT 기술은 선진국 수준에 근접에 있고, 일부 나노바이오센서와 POC 분야는 세계 첨단급이다. 그러나 선진 거대 기업이 장악하고 있는 해외시장에서 우리의 영역을 넓히기 위해서는, 취약한 암 진단과 어려운 감염병 예방과 관련되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기반기술은 물론 바이오마커의 발굴 및 시료 전처리에 대한 원천기술을 우선 확보해야 한다. 나노 기술에 있어서는 재현성과 경제성이 고려된 대량생산 공정을 확립하고 필요시 독성 문제에도 대비해야 한다.

 

이 총설에서 저자는 나노구조 센서는 생의학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쳐 10년 안에 헬스케어 시나리오에 긍정적 영향을 줄이라고 하였다. 진단 디바이스를 위한 나노구조 센서의 R&D 시나리오는 맞춤형과 재생 의학을 강조하면서, 최종 사용자가 원하는 POC, 착용형, 이식형 등과 플랫폼에 모듈형 설계, 다중분석 기능 및 적응성을 제공하는 센서 기술을 지향하는 추세에 있다.

저자
Sivashankar Krishnamoorthy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4()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18~124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