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심력에 의한 아연의 건식제련 회수

전문가 제언

원심력(centrifugal force)은 회전하는 좌표계에서 관찰되는 관성력으로, 회전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관찰된다. 하지만 다른 관성력과 마찬가지로 실제 존재하는 힘은 아니다. 가속하는 계(비관성좌표계) 안의 물체들은 관성에 따라 운동하려 하기 때문에 를 기준으로 하여 계가 받는 가속도의 반대방향 가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힘이 관성력이다.

 

여러 물질이 섞인 액체의 구성 성분을 분리하고 싶으면 그 액체가 어떤 상태냐에 따라 방법이 달라진다. 흙탕물 같은 불균일 혼합물은 그냥 가만 놔두기만 해도 모래와 물이 알아서 분리된다. 그런데 소금물 같은 균일혼합물은 아무리 놔둬도 소금과 물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때 쓰는 것이 바로 원심분리기이다. 균일혼합물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돌리면 어떤 물질에 받는 원심력이 클수록 그 물질은 아래쪽으로 침전된다.

 

용융아연 도금공정 중 발생하는 아연재는 2차아연의 중요한 근원이다. 아연재 처리기술은 금속종류 또는 아연화합물 종류에서 아연형성을 의미한다. 실험실장비를 위해 설계된 장비는 아연의 용융과 분리공정 동안 원심력과 질소흐름의 보호분위기를 사용했다. 우리나라는 연간 수백 톤 이상의 아연재를 발생하는 대규모 사업체에서 아연재의 재활용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전체 시료%를 차지하는 크기 1.25mm 이상의 조립 아연재를 자체 제작된 원심력 건식제련 장치(메시 크기 0.5×0.5mm 원심력 29.35N)에서 처리한 결과 용융시간 30분과 온도 500, 550에서 최대 88%의 아연을 회수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실험실규모에서 동위원소 분리(Isotope separation)는 동위원소가 혼합된 물질에서 원하는 동위원소를 농축시키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우라늄을 농축 우라늄과 감손 우라늄으로 분리시키는 과정이다. 의료용 냉동분리기 등 일부 장치는 국내에서 제작하고 있다.

 

저자
J. Trpcevska, B. Holkova, J. Briancin, K. Koralova, J. Piroskov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43()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Mineral Process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5~33
분석자
유*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