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상 공정에 의한 티타니아 나노 복합체의 제조
- 전문가 제언
-
○ 본문은 TiO2 함유 나노 복합체의 제조와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나노 복합체의 제조법으로는 졸-겔법과 양극산화법이 주로 탐구되었다. TiO2 함유 나노 복합체는 광촉매, 마이크로 패턴 등의 활용에 매우 유망하다. 그들의 기능을 조절과 성능을 최적화 하는 방법을 고려하였다.
○ 나노 복합체는 구형, 로드, 튜브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응용분야 또한 전지, 환경, 광학, 광촉매, Biotechnology 등등 매우 광범위합니다. 나노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기술로는 계면활성제가 형성하는 마이크로 구조의 제어, 졸-겔 화학, 티놀 화합물과 금속 간의 배위결합, 코어-셀 구조 형성을 위한 코팅 등을 이용하고 있다.
○ TiO2 분말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하고 무독성이며 차외선 흡수 능력이 뛰어나고 또 높은 굴절률 특성으로 매우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자외선 차단과 광학기기의 코팅막, 광 촉매 등 고기능성 재료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향후 TiO2 나노입자와 나노 복합소재의 적용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다.
○ 탄소 복합체(TiO2-C)의 응용분야는 전기전도 특성을 이용한 전도성 복합재료로 나노 시트를 반복적으로 쌓아올린 슈퍼커패시터 전극을 제작하고 있다. 기존 전극보다 2배 이상의 높은 에너지 저장능력과 1,000 사이클 구동 후에도 93% 이상의 높은 소자 성능을 유지하는 것도 국내에서 연구되고 있다. 투명 전도성 필름, 고강도의 경량 특성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차전지 양극재료, 유기태양전지, 광촉매, 마이크로 패턴 등 이 연구되고 있다.
○ 태양전지 시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36% 이상 성장했으며, 향후 10년간 연 25% 이상의 시장성장 및 태양전지의 가격 경쟁력 개선이 예측되고 있다. DSSCs 시장의 경우 2018년에는 시장 규모가 9조 7,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자
- Go KAWAMURA and Atsunori MATSUD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123(7)
- 잡지명
- J. of Ceramic Society Japa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17~522
- 분석자
- 강*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