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용유의 정제: 현행 및 잠재적인 기술에 대한 평가

전문가 제언

식용유지의 자원으로는 식물성인 종실과 동물성인 육류와 어류가 있으며, 식물성 유지의 자원으로는 팜, 올리브, , 해바라기, 코코넛, 옥수수, 면실, 땅콩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유지에 들어있는 불순물로는 유리지방산, 인지질, 휘발성 성분, 금속이온, 산화물 등이 있으며, acylglycerols, tocopherol, squalene, sterols은 유용한 불순물에 속한다.

 

정제공정은 탈검, 탈산, 탈색, 탈취의 네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정제과정에서 어유와 식물성 유지의 차이는 지방산의 조성이다. 어유에 들어있는 주요 불포화지방산은 EPADHA이며, 식물성 유지에는 EPADHA의 전구물질로 작용하는 알파 lenolenic acid 를 함유하고 있다.

 

유지 중에 들어있는 필수지방산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높고, , 광선, 대기 산소, 불순물에 불안정성하며, 저장 중에 산소 독이 생성된다. 따라서 유지의 정제과정 중에 필수지방산은 잘 보존하고, 다른 불량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정제의 근본 목적이다.

 

FAO/WHO에서는 EPADHA와 같은 n-3 다가불포화지방산을 식이보충제로 하루에 0.251.8g을 복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국내에서 생산된 어유에 대해서 라벨에 1일 섭취량(Acceptable Daily Intake)과 관련된 위와 같은 물질의 함량을 표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유지제품의 라벨에 열량, 탄수화물-당류, 단백질, 지방-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의 함량을 의무표시항목으로 지정한 것은 정제방법이 효율적적으로 이루어진 품질 좋은 상품이라는 신뢰를 소비자에 심어주는 것으로써 바람직한 정책이라고 본다.

 

막 분리 공정은 환경친화적인 공정으로서 현실의 요구와 잘 부합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앞으로 국내 식용유지 업계에 종사하는 공정개발자나 연구소의 유지 관련 연구자들은 지속적이고,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이고도 경제적인 막 분리 공정을 포함한 새로운 식용유지 정제공정을 개발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저자
Chandrasekar Vaisali, Sampath Charanyaa, Prasanna D. Belur & I. Regupat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50()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3~23
분석자
장*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