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러지·우드칩의 혼합-퇴비화와 환경영향 평가: EASETECH
- 전문가 제언
-
○ 도시인구의 증가와 산업발달에 따른 하수슬러지의 처리가 세계적인 문제로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막대한 양의 하수슬러지기 적절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하수슬러지 발생량을 보면 전국 460개 하수처리장에서 375만 톤을 배출할 전망이고, 또한 지금의 하수 슬러지처리에서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해양투기가 2006년에 발효된 런던협약에 따라 2011년부터는 전면 금지되고 있는 입장이다.
○ 이에 따라 수분 함량이 높고 낮은 C/N 비로 슬러지 그 자체로는 퇴비화는 어렵다(Banegas et al., 2007). 슬러지와 생활 고형물, 톱밥, 식품산업 부산물 등과의 혼합-퇴비화는 상호보완적인 특성을 가진다. 정원 폐기물은 잘게 부수어져, 수분 함량이 적고, 높은 C/N 비에 의해 슬러지와의 혼합-퇴비화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물질 혼합비, 온도, 수분 함량 변화와 같은 변수에 집중한 파일럿 실험을 근거로 도시 하수슬러지와 정원 폐기물과의 혼합-퇴비화에 대한 환경영향의 전망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사용된 모델은 새로 개발된 EASETECH으로 이는 LCA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환경기술에 대한 복잡한 체계의 환경영향평가도 가능하다.
○ 국내에서는 음식폐기물과 하수슬러지를 혐기성소화에 적용하거나 가축분뇨와 농업폐기물을 기질로 사용했던 사례는 종종 있지만, 하수슬러지와 농산/임산 폐기물과 같은 유기성 혼합물질의 퇴비화에 대한 사례는 보이지 않았다. 본고에서와 같이 가지치기 폐기물과 하수슬러지와의 혼합물을 대상으로 한 퇴비화과정에서 미생물 특성 규명과 유기물질의 안정성과 적용성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필요하다.
- 저자
- Yan Zhao, Wenjing Lu, Anders Damgaard, Yu Zhang, Hongtao Wa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42()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5~60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