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개발프로그램의 전임상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핵심 사항

전문가 제언

바이오시밀러(biosimilar)는 특허 만료된 치료용 복제 바이오의약품으로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는 치료비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치료제로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들어 주요 제약사를 중심으로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의 사용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전임상 및 임상시험 단계를 거쳐야 한다. 특히 전임상 단계의 유사성(similarity) 평가 자료는 임상시험 수준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이오시밀러 개발프로그램에서 상당히 중요시 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의 개발전략을 설계하기 전에 유사성 평가에서 요구되는 주요 평가항목인 QTPP(quality target product profile; 표적이 되는 제품의 품질특성을 보여주는 개요서)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기존의 표준 바이오의약제품(reference biologic)과의 유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임상 단계에서 요구되는 주요 분석대상으로는 물리화학적 특성, 생체 내 및 생체 외 생물학적 활성 및 기능 분석, 약동학 및 약력학적(pharmacokinetics/pharmacodynamic) 특성 분석, 동물에 대한 안전성 및 독성 등에 대한 분석 자료가 필수적이다.

 

전임상 단계의 분석 자료의 수준은 임상시험 단계에서 요구되는 분석절차와 경비절약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발전략을 설계할 때 이들 분석 자료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임상시험 단계에서는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이 중요하므로 이에 대비한 임상시험설계도 바이오시밀러의 개발전략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핵심 사항이다.

 

2015년도에 특허가 만료되는 바이오의약품은 약 45개 정도로 예정되어 있고, 이들 의약품에 대한 바이오시밀러의 전 세계 시장규모는 약 590억 달러로 추산된다. 국내의 경우 류마티스 관절염과 암 치료용 바이오시밀러가 승인이 된 상태이며, 유럽에서는 수종의 종양 치료용 바이오시밀러가 승인되었다. 미국 제약사도 이 분야의 개발을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지만 자금지원만 확보된다면 우리나라도 도전해 볼 수 있는 산업 분야라고 생각된다.

 

저자
Lynne A. Bui, Susan Hurst, Gregory L. Finch, Beverly Ingram, Ira A. Jacobs, Carol F. Kirchhoff, Chee-Keng Ng, Anne M. Rya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20(S1)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15
분석자
정*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