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SiO2-Al2O3-Na2O-K2O-CaO계 유리에서 BaO 첨가가 결정화 유리 구조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투명한 유리 안에 결정이 생기면 투명성을 잃는 결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결정화 유리는 유리 내에 핵생성과 결정화를 제어하여 필요한 결정을 생성시킨 재료이다. 따라서 유리의 성형과 검사가 쉬운 장점과 결정이 가진 광학적 및 역학적 장점을 합친 것이다.

 

시판 결정화 유리는 전열 조리기구, 천체 망원경의 반사경, 내열 식기 인공 뼈 등 높은 열적, 기계적 안정성이 요구되는 제품의 제조에 사용한다. 또 결정화 유리는 용도별로 설계하여 특수한 물성을 나타내며 정보전달, 표시 기록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원하는 물성을 나타내는 유리는 될 수 있으면 낮은 온도에서 녹일 수 있으면 좋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노 규산염 유리에는 알칼리 금속산화물(저온과 중간 온도 융제)과 알칼리토류 금속 산화물(중간과 고온 융제)을 융제로 사용한다. BaO는 소량만 존재해도 1,250이상에서 단독으로 융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다른 알칼리 금속산화물이 존재하면 1,000이하에서 반응한다.

 

본 연구에서 알루미노 규산염 유리에 융제로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류 금속산화물 이외에 BaO를 첨가하여 첨가량의 변화에 따른 결정생성을 조사하였다. 첨가한 BaO의 양이 늘면 상 조성에 변화를 가져오며 결정상의 양이 증가하였다.

 

국내에서도 결정화 유리에 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유전 특성, 열적 성질 및 화학적 안정성, 생체 적응성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목적으로 결정화 유리를 시도하고 있다. 모든 조성이 되도록 저온에서 녹아서 결정화하는 성분을 찾는 것이 경제적일 것이다.

저자
Janusz Partyk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41()
잡지명
Ceramics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9337~9343
분석자
김*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