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폴리올레핀 기반 조성 접착제와 다층구조

전문가 제언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적을 것으로 예측된다. 그 이유는 폴리올레핀에 관련된 특허나 연구들이 국내에서도 많이 진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특허등록(출원인: 김웅, 등록번호/일자: 101314100000/2013. 9. 25) 등 국내에서도 특허권을 이미 확보하여 놓고 있다. 물론 좀 더 많은 연구가 앞으로도 이루어져야 된다고 평가된다.

 

앞에서 지적한 특허는 케이블 등의 절연재료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지만, 친환경적이면서도 기계적 물성, 내열성, 내가열변형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난연성과 상충관계에 있는 유연성, 신장성, 압축성 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우수한 물성을 갖는 난연성 조성물로 알려져 있다.

 

폴리올레핀은 범용성 수지로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같은 올레핀으로 탄화수소 중 탄소 분자 1개당 1개의 이중결합을 갖고 있는 물질이다. 이에 첨가 반응시켜 중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조방법에 따라 저압, 중압, 고압으로 나뉘는 폴리에틸렌과 EVA, 그리고 각종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폴리올레핀의 장점은 다른 플라스틱들보다도 가볍다. 또한 투명도도 높고, 수분도 잘 흡수하지 않아 방수가 된다는 장점들이 있다.

 

본 특허에서는 위와 같은 장점들을 갖고 있는 HDPE 또는 LLDPE 등을 사용하여 다분산성을 가진 선형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탄성체, 탄화수소 기반의 끈적끈적한 점착부여제, 추가로 하나나 둘 이상의 첨가물을 넣어 강력한 접착력을 갖고 있는 폴리올레핀 조성의 접착제를 개발하여 특허권을 확보하였다.

 

본 특허에서 개발하여 얻은 특허 내용은 범용성 폴리올레핀을 기반으로 한 접착제이므로 경제성이 있고, 경량의 다층구조를 이룰 수 있는 강력한 접착성이 장점이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기반 접착제의 조성물들은 유연성이 뛰어난 장점과 함께 충격 흡수에 강하다. 또한 무게가 가볍고 인장강도가 높다. 이중, 삼중의 다층 구조를 이룰 수 있는 접착력이 재료의 특성으로 평가된다.

 

저자
EQUISTAR CHEMICALS, LP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WO20150113016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3
분석자
성*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