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간 수정체 상피세포의 방사선 감수성

전문가 제언

방사선 피폭에 의해 일어나는 생물학적 영향은 크게 결정적 영향과 확률적 영향으로 구분되는데, 결정적 영향은 단기간에 조사량이 많을 때 일어나는 것으로서 발단선량이 있으며 대표적인 증상으로 분자사, 불임, 백내장 등이 있다. 이에 비해 확률적 영향은 발단선량이 없으며 저선량 장기 피폭에서 일어나는데,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암, 백혈병, 돌연변이, 유전 장해 등이 있다.

 

방사선 피폭에 의해 발생하는 암은 세포의 증식활동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수정체는 살아 있는 동안 성장을 계속하여도 다른 조직과는 다르게 암이 발병하지 않는 생체 내의 유일한 조직이다. 그러나 수정체가 전리방사선에 피폭되면, 암을 유발시키지는 않지만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백내장이 일어나므로 방사선방호 관점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1950년에 백내장을 방사선의 영향에 포함시켰으며, 1977년부터는 백내장을 방사선의 결정적 영향으로 분류하였고 백내장이 일어나는 발단선량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2011년에는 시각장해성 백내장이 생기는 발단선량을 종래의 8에서 0.5로 크게 낮추었다.

 

백내장에 대한 역학연구에서는 발단선량이 없는 것으로 보이는 결과로부터 확률적 영향일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어서 백내장 발증기구의 해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수정체 중에서 유일하게 증식능력을 가진 수정체 상피세포의 방사선 영향에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원자력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나라의 하나로서 방사선방호 관점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저자
Hamada Nobuyuki, Fujimichi Yuk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2015(734)
잡지명
Isotope N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11
분석자
이*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