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의 시판분유에서 아플라톡신 M1의 생성
- 전문가 제언
-
○ 아플라톡신은 주로 Aspergillus속 곰팡이가 생성하는 2차 대사산물로서 곡류, 두류, 옥수수, 땅콩 등의 농산물에 이 곰팡이가 자라서 생성하는 곰팡이독이다. 대표적인 독소는 아플라톡신 B1, B2, G1, G2, M1, M2 등 17여 종이 있으며, 인체의 간장에 강력한 독작용을 일으키는 발암물질이다. 특히 아플라톡신 B1은 발암력이 가장 강력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열에 매우 안정해서 보통의 조리 가열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 우리나라 곰팡이독소 기준(식품공전)은 총 아플라톡신 함량과 아플라톡신 M1 함량 2가지로 나누어져 있으며, 총 아플라톡신(B1, B2, G1 및 G2의 합)은 곡류, 두류, 땅콩, 견과류 등에서 한계 기준이 15.0㎍/kg이다. 아플라톡신 M1은 제조?가공 직전의 원유 및 우유류에서 0.50㎍/kg이하로 되어 있으며, 조제유류(조제분유, 조제우유 등) 중 유성분 함유제품은 0.025㎍/kg 이하로 되어 있다.
○ 외국 등의 아플라톡신의 규격을 보면, 미국의 낙농 가축사료에서 총 아플라톡신 한계 기준은 20㎍/kg이며, 태국은 낙농사료에서 총 아플라톡신 기준이 200㎍/kg로서 높은 편이다. 유럽연합의 분유제품에 대한 기준은 아플라톡신 M1이 0.05ng/g이고, 우유의 AFM1은 0.05㎍/kg으로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의 우유에서 AFM1의 기준인 0.5㎍/kg보다 유럽연합이 더 낮다. 우리나라의 사료 내 아플라톡신(B1+B2+G1+G2)의 허용기준은 배합사료에서 10ppb(기타 배합사료는 20ppb)이고, 단미사료는 50ppb이다.
○ 본 보고서에서 태국의 낙농사료의 AFB1의 오염 수준은 미국 등의 규제 한계인 20㎍/kg을 초과한 것이 많아 상당히 높은 편이나 태국 규제 한계인 200㎍/kg을 넘지는 않았다. 그러나 낙농사료의 AFB1 오염 농도가 우유의 AFM1 농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에 낙농사료의 AFB1 오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 분유에 대한 아플라톡신 분석 자료는 많지 않으며, 이에 대한 관리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Manita Soontornjanagit, Osamu Kawamur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65(2)
- 잡지명
- マイコトキシン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75~79
- 분석자
- 백*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