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T 패널유리를 이용한 고단열성 발포유리의 제조
- 전문가 제언
-
○ 발포유리는 균질한 독립기공조직으로 된 유리로 기공률이 매우 높아 단열재, 흡음제 등으로 사용되는 재료이다. 발포유리는 모재가 유리이기 때문에 유리자체의 장점에 기공의 특성을 부여한 단열재로 폐 기공은 흡수율이 없으므로 극저온에서의 단열효과와 압축강도가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고온에서도 타지 않는 특징이 있어 화재 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건축용 단열재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냉장고의 보온, 보냉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발포제로 탄산칼슘이나 돌로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공이 연속적인 통기성 조직이 되어 경량이지만 흡수성을 갖는 결점이 있다. 탄소를 사용한 경우에는 독립기공조직을 만들기 위해서는 30-50 ℃/분의 급속한 승온이 필요하다. 실리콘카바이드를 발포제로 하는 경우에는 1150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해야만 된다. 이상의 단점을 보완하기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 본고에서는 발포제 탄소에 MnO2를 첨가하면 연화된 유리 중의 탄소가망간의 환원으로 탄소가 CO2로 되는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아 폐 기공이 만들어지는 장점이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단열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가 매우 좋은 발포유리를 제조할 수 있었다. 즉, MnO2의 첨가는 발포의 질을 상당히 증진시킨다.
○ KICET에서는 2000년대 초반 삼척 도계지역의 석탄폐석을 이용하여 발포제로 탄산칼슘, 인산칼슘 등을 사용하여 발포유리 패널을 제조하였다. 최근에는 LCD폐유리에 물유리와 소량의 계면활성제와 기포안정제를 혼합한 후 인덕션 가열장치로 제조온도를 300 ℃ 낮춘 단계별 가열, 증발, 건조시키는 비등법에 의한 발포유리를 제조한 연구결과도 있다.
○ 폐유리로부터 발포유리의 제조는 친환경적이며 건축물의 커튼월 층간 화재확산방지용 패널로, 내산성이 요구되는 화력발전소의 연돌 내부 라이닝재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 발포유리의 골재를 경량 콘크리트와 혼합하여 바닥 충격음 차단과 단열용 바닥재로도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발포유리는 건설 산업의 기능소재로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저자
- Jakob Konig, Rasmus R. Petersen, Yuanzheng Y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41()
- 잡지명
- Ceramics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793~9800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