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고형폐기물 수거 관리시스템의 연구현황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쓰레기종량제를 실시한 지 20년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종량제 이전보다 16% 감소하였고 재활용량은 3배 이상 증가해서 경제적 효과는 21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 그러나 아직도 폐기물 매립장이나 소각장으로 배출되는 종량제 봉투 속에도 70%이상은 재활용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어 개선의 여지가 크다고 한다.
○ 자원순환사회를 지향하는 우리로서는 급속한 도시화의 진전에 따른 거대도시에서 배출하는 고형폐기물에 대해, 3R 즉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 열 회수(Recovery)를 적극 도입 중이며 자원을 폐기하는 매립이나 단순 매각은 최소화해야 한다.
○ 본문은 이러한 도시고형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전략에서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하여 수거단계부터 선별, 재활용, 소각 및 최종처분에 이르기까지 접목가능한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 우리는 불법폐기물의 단속을 위한 CCTV 설치는 활발하나, 최종적으로 쓰레기 배출통의 전 주기관리는 아직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IT기술이 잘 발달되어 있어 도시고형폐기물관리에 접목시킨다면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따라서 폐기물의 각 수거, 선별분리, 재활용, 소각, 매립 등 각 단계별로 ICT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보다 활성화 된다면 현재 전국 단위의 쓰레기종량제에서 재활용률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 저자
- M.A. Hannan, Md. Abdulla Al Mamun, Aini Hussain, Hassan Basri, R.A. Begum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43()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09~523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