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에너지 공급원 및 식품보조제로서의 해조류의 건조

전문가 제언

해조류는 바이오연료 원료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식품 보조제로서 연구자의 주의를 끌기에 충분한 물리 및 화학적 성질을 가졌다. 그러나 수분이 3.285.67kg/kg(건조해조류) 포함되어 있어서 건조에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건조 방법에 따른 해조류의 물리 및 화학적 성질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류 건조(풍건) 기간에 위축, 균열, 딱딱하게 굳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굳기, 팽창, 함수 및 함유 능력은 건조 공정에 의존된다. 이런 물리적 변화는 건조 조건, 특히 건조 공기의 온도에 의존된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해조류의 가장 중요한 화학성분인 지방, 단백질 및 비타민의 열화 속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60이상의 건도온도에서는 90% 이상의 단백질과 지방이, 비타민의 50% 이상이 열화됨을 보여주었고, 5560가 최대량의 지방, 단백질 및 비타민을 회수하기 위한 최적의 건조 온도라는 것을 알았다.

 

주로 동결, 분무 및 대류 건조가 문헌에 해조류 건조 방법으로 보고되었다. 이들 3가지 방식의 비교로는 동결 건조가 최종 건조 재료에서 더 많은 지방과 β-카로틴을 회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회수된 단백질 양이 대류 건조에서 높게 나왔다.

 

해조류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권에서 식용으로 사용하는 식품으로 해조류의 세계생산량은 연간 약 4백만 톤이다. 이 생산량의 80% 이상이 아시아의 태평양 지역에서 생산되며, 이중 상당부분이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서 생산되어 소비되고 있다. 녹조식물문에 속하는 갈파래과 해초인 구멍갈파래는 일년생 해초로서 우리나라 어디서나 볼 수 있고,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함유 성분 중에는 단백질, 아미노산, 비티민 등이 많아 영양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특유의 향미가 있고, 다양한 영양분으로 인하여 건강보조식품, 생리활성물질의 공급원 등으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어 해조류의 이용도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자
Lyes Bennamou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50()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203~1212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