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레이슈마니아병 실험 감염경로
- 전문가 제언
-
○ 레이슈마니아는 두 숙주에서 생명주기를 완성한다. 하나는 플레보토민 모래 파리 매개체인 편모 감염 전편모충 형태와 포유동물 세포내에서 전편모충 형태로 발전하여 복재된다. 모래파리는 레이슈마니아의 생물학적 전염에 적응한 유일한 곤충이다. L. infantum을 보유하는 0.5 - 3%의 모래파리로도 풍토병 지역의 감염을 유지하는데 충분하다. 모래파리 전염 외에 수혈, 수직, 및 성병 전염이 있다.
○ 감염은 꼭 질병으로 나타나지는 않고 무증상으로, 임상징후로 발전하지 않을 수 있다. 풍토성 지역에서 질병의 발생은 10%이하이고 감염된 5마리 중 1마리만 임상질병으로 발전한다. 이는 각 개 종류의 면역력 때문이다. German shepherd, Boxer, cocker spaniel에서 발병율이 높고, 미국에서는 foxhound kennel들이 주로 병에 걸린다. 3살 이하와 8살 이상 개에서 질병이 주로 발생하며 수놈이 발병율이 높다.
○ 병상은 피부상처로 나타나는 것이 가장 흔하다. 탈모증, 비소양증, 궤양성, 결절성, 혹은 구진성 피부염으로도 나타나고 이들은 박테리아 화농성으로 발전할 수 있다. 타 임상징후로는 만성 소모성, 코피, 설사, 결막염, 심한 근육위축, 부어오른 사지, 관절, 절룩거림, 맆프샘 장애, 다발 관절염, 단백질 손실 신장애와 이에 따른 신부전증이 있다. 예방으로는 deltamethrin 개목거리를 하면 86%의 효과가 있다.
○ 2012년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는 국가R&D 연구보고서,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개 매개질환들에 대한 신속 항체 진단키트 개발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내용은, Leishmania infantum 유전자 재조합 항원 및 키트 개발로, 1) K39 gene 발현 및 재조합항원 제조: K39a(120bp, 25kDa), K39b(354bp, 36kDa), 2) Leishmania rapid kit의 개발 - 래피드 키트의 제제화: Gold colloid제조, Gold colloid와 Recombinant Leishmania, 3) K39 conjugate의 제조 및 Assay strip 및 4) 수출용 허가 획득 등의 결과를 얻었다.
- 저자
- Leticia Hernandez,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207()
- 잡지명
- Veterinary Parasit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49~155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