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 저온살균의 면역학적 결과
- 전문가 제언
-
○ 살균된 우유를 먹었을 때 보다 생우유를 먹으면 아플 가능성이 9배가 되지만 심각한 병에 결릴 절대적 위험 (입원해야 하는)은 매우 작다. 6 백만 명 중 한명이 이애 해당한다. 많은 소비자들이 생우유에는 영양소가 많아 이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살균우유는 우유제품의 영양의 질을 감소시킨다. 실제로 연구에 의하면 열 가열로 망간, 구리 및 철분이 감소한다. 또 살균은 많은 량의 비타민 C를 파괴하고, 우유안의 비타민 B6 생리활성을 현저히 저해한다.
○ 많은 사람들이 살균우유를 먹으면 소화 및 타 문제를 일으킨다. 그러나 생우유는 그렇지 않다. 그 이유는 확실히 모르며, FDA도 생우유는 프로바이오틱 효과라든가 혹은 이러한 현상을 설명해 줄 다른 특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 생우유는 락토오스 흡수불량이나 락토오스 불내성 증상을 감소시키지 못한다. 이러한 사실로 보면 생우유가 락토오스 불내성을 감소시킨다는 풍문은 믿을 것이 못된다.
○ 연구에 의하면 살균우유에 없는 미생물들을 생우유는 포함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따르면 병균들이 생우유에서는 천천히 자라고, 여기에 병균을 첨가하면 살균우유보다 더 빨리 죽는다고 한다. 이는 생우유가 박테리아에 오염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며, 생우유가 병균을 죽인다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생우유는 살균우유보다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와 항균성 효소 때문에 오염에 덜 민감하다 한다.
○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우유의 소비내역을 살펴보면 70%이상이 시유로 이용되고 있고, 유제품 가공용으로는 약 30%가 이용되고 있으며 발효유가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2015년 2월자 한국경제신문에 따르면 현재 우유 재고가 사상 최대라고 한다. 소비는 부진한데 공급이 계속 늘어난 탓이다. 한국낙농진흥회에 따르면 우유 재고량은 작년 말 23만2572t으로 전년 말(9만2677t)의 2.5배에 달했다. 반면 수요 면에선 우유 소비의 60%를 차지하는 12세 이하 유·아동 인구가 해마다 3~4%씩 줄어들고 있다. 유일한 돌파구라던 중국조차 우유가 남아 밭에 쏟아버리는 지경이라 별로 기대할 게 없는 실정이다.
- 저자
- R.J. McCarthy,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40()
- 잡지명
- International Dairy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67~72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