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유래 재조합 단백질의 추출과 다운스트림 공정
- 전문가 제언
-
○ 식물에서 재조합 방법에 의한 바이오의약품 제품은 현재 많지 않으며 오직 한 품목만 허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식물유래 바이오의약품의 상업화가 늦어지는 이유는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 우선,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기술적 문제가 있으며, 두 번째는, 기존의 미생물이나 포유동물 방법과 경제적 경쟁력이다. 마지막으로 봉착하고 있는 문제는, 허가를 위한 각종 기준의 부재이다.
○ 한편, 식물에서의 재조합 단백질 생산은 단백질의 당화에서 결정적인 이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간염이나 계절 백신 항원의 결정적 기능이 당화에 의하여 좌우될 수 있어 이 분야에 대한 집중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현재의 미생물, 포유동물 세포주에서 생산하는 재조합 의약품에 비하여 식물이 보다 우수한 기능성 단백질을 생산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 문제는 현재의 재조합 바이오의약품의 허가 규정이 미생물, 포유동물 생산을 기준으로 제정되어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문제는 해당 분야의 연구자나 의욕을 가진 일부 기업체의 노력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렵다. 이러한 표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련 허가 담당기관을 포함한 산학연의 협동 노력이 요구되며, 노력 여하에 따라서 우리나라가 선진 기술과 세계시장을 주도할 지가 판가름 날 것이다.
○ 본 리뷰는 독일 아헨(Achen)에 소재 하는 관련 연구소 연구원들이 식물유래 재조합단백질의 추출과 다운스트림 공정에 관한 현재 기준 300 여 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소개한 것이다. 특히 식물유래 재조합단백질 생산 경비의 80%가 다운스트림 공정에서 발생하고 있어 다운스트림 기술과 관련된 여러 도전 사항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 국내의 몇몇 산업 분야가 세계시장을 주도하듯이 식물유래 의약품도 관계 분야의 협력과 효율적인 사업 수행으로 우리나라가 관련 틈새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J.F. Buyel, R.M. Twymanc, R. Fische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33()
- 잡지명
- Biotechnology Adva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902~913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