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혈액-뇌 장벽(blood-brain-barrier)을 표적으로 하는 단백질기반 나노의약품: 중추신경계로 약물과 핵산의 전달

전문가 제언

중추신경계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들은 많이 개발되어 있지만 약물을 해당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중추신경계를 둘러싸고 있는 경계막을 약물이 쉽게 통과하는 것이 관건이다. 현재 중추신경계 질환의 치료약물을 개발하는데 있어 주 표적 장벽은 혈액-뇌 장벽과 혈액-척수 장벽이다. 이들 장벽의 통과를 매개하는 운반체에 약물 탑재물이 결합된 나노의약품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개발되어 임상시험이 진행 중인 나노의약품도 속속 소개되고 있다.

 

현재 혈액-뇌 장벽의 통과를 위해 개발대상이 되고 있는 주 표적은 인슈린, 트랜스페린(transferrin), LDL(low density lipoprotein) 수용체를 표적물로 하는 약물 운반체를 합성하는 것이다. 이들 수용체를 인지하여 결합하는 항체 혹은 리간드에 탑재된 약물은 혈액-뇌 장벽을 효율적으로 통과된다는 사실이 많은 연구결과에 의해 검증되었을 뿐 아니라, 중추신계의 질환치료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나노입자로 된 약물 탑재물과 나노운반체가 결합된 나노의약품이 중추신경계 질환의 치료용으로 개발되고 있다.

 

나노의약품이 적용되고 있는 중추신경계 질환으로는 파킨슨, 알츠하이머, 뇌종양, 뇌경색, 만성통증, 감염성 질환 및 기면증 등이 있다. 약물의 효율적 전달을 위한 나노의약품의 주입방법은 다양하지만 후각세포를 통한 약물의 확산작용을 유도하는 비강 내 주입방법이 여러 질환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유전자치료의 경우 두 개 내 (intracranial) 주입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중추신경계 질환의 치료용 나노의약품 개발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은 약물이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여 중추신경계의 표적조직에 정확하게 전달이 되는 나노결합체를 합성하는 기술의 개발이다. 중추신경계 질환의 세계시장 규모는 약 800억 달러로 추정되고 있으며, 고령화의 증가추세로 이 분야 치료제 시장은 국내는 물론 세계 시장에서도 지속적으로 성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치료제 개발의 실패율이 높아 국내의 경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저자
Hugo Peluffo, Ugutz Unzueta, Maria Luciana Negro-Demontel, Zhikun Xuc, Esther Vaquez, Neus Ferrer-Miralles, Antonio Villaverd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3()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77~287
분석자
정*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