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지털 콘텐츠의 보안기능 강화 방법

전문가 제언

이 특허기술은 다양한 채널과 방법으로 유통이 확대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별로 보안등급을 지정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역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시청각 프로그램에 대해 보안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는 사회적 역기능을 예방할 수 있는 커다란 가치가 있는 기술로 판단된다. 이러한 대응기술이 국내 DRM 기술 분야에 파급된다면 디지털 콘텐츠 유통구조의 선순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특허기술의 핵심사항은 할당된 보안등급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디지털 콘텐츠 제작자와 운영자 간 보안등급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처럼 포스트-프로덕션 환경이 미비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환경에서는 이용자별 보안등급 설정이 오히려 DRM 관리기능에 저해요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개선하여 포스트-프로덕션 환경이 갖춰지지 않은 제작환경에도 적용할 수 있는 좀 더 유연한 구조의 보안강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015년 국내 콘텐츠산업은 전체적으로(출판/만화/음악/게임/영화/애니메이션/방송/광고/캐릭터/지식정보/공연) 매출액과 수출액 모두 2014년 대비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은 전년 대비 4.9% 증가한 989,000억 원, 수출은 전년 대비 8.1% 성장한 584,000만 달러로 전망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거대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시장을 선순환 DRM 구조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용자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DRM 기능을 개발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해외 주요 DRM 기술 업체 동향을 보면, 20129IntertrustMarlin DRM 기술에 호환되는 모바일 및 PC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Wasabi Express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소개한바 있다. 또한 MicrosoftGoogle(Widevine)도 소프트웨어 개발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자사의 DRM 기술을 쉽게 도입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개발자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국내 관련 기업에서도 획기적인 DRM 관리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저자
THOMSON LICENSING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WO20150084382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0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