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DDDAS에서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규모
- 전문가 제언
-
○ 도처에 편재되어 있는 센서 및 개인 디바이스는 무수히 셀 수 없는 방법으로 DDDAS(동적 데이터 구동 응용시스템: Dynamic Data Driven Application Systems) 시뮬레이션의 응용성이 확장될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입을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는 강력한 컴퓨팅과 데이터 용량을 가진 잠재적 센서인 반면 프라이버시와 보안은 참가자 측면에서 동적 데이터 구동 응용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프라이버시 보존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모델링은 데이터 통합 및 피드백 제어 모델링 단계에서 데이터양을 줄이고 원시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게 높은 가용성과 무결성 전송을 수행한다고 기술하고 있으나 데이터 수집단계와 피드백제어 시 데이터양을 줄이는 것만으로 데이터의 기밀성 유지, 가용성 및 무결성을 보장한다 것은 한계가 있다.
○ DDAS 시스템 개발은 국내외적으로 아직 초기단계이다. 근본적으로 실험이나 시뮬레이션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어떠한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 실험적 관찰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서 실제 현상에서 관측되지 않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핵심은 스마트 기기나 웨어러블 참가자들의 입력데이터를 적용하는 데 있어서 프라이버시 보존과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이므로 다량으로 입력되는 다양한 패턴 데이터에 보안이 적용되는 적응시뮬레이션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 현실적으로 실험 데이터가 가용할 때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결합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더욱이 시뮬레이션은 각 실험데이터를 반영함으로 정확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DDAS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보안유지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기밀성 유지가 요구되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훼손 방지를 위한 공개키를 기반으로 하는 암ㆍ복호화 적용 및 비인가자 접근 방지를 위한 접근제어가 적용되어 시뮬레이션 설계에 반영되는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 저자
- Li Xiong and Vaidy Sunderam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51()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483~2492
- 분석자
- 조*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