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레이저 및 레이저 아크 복합용접부의 루트결함을 방지하는 용접기술

전문가 제언

조선해양을 포함한 산업현장에서 조립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열변형을 많이 일으키고 뒤처리 가공과 교정 등의 후공정이 필요한 아크용접법을 대신하여 유럽 등에서는 레이저 및 레이저 아크 복합용접과 같은 저입열 용접공정이 조선소의 조립공정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유력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조선해양을 포함한 중화학산업 분야에서도 용접구조물의 품질확보와 생산성향상을 위해 레이저 및 레이저 아크 복합용접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레이저 및 레이저 아크 복합용접에서 편면 I 패스 맞대기용접시 완전용입을 통해 용접이음부의 뒷면에 완전용입으로 형성되는 백 비드의 형상은 용접부의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며 AWS 용접검사 매뉴얼에서는 뒷면용접(back weld)와 백킹용접(backing weld)로 구별하여 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백 비드는 용접입열량이 많을 경우에는 과도한 루트용입에 의한 비드불량, 용접입열량이 적을 경우에는 용접그루브의 루트부가 충분히 용융하여 용접되지 않은 형태의 루트융합불량이 발생하기 쉬우며 루트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잔류응력의 분포가 좌우 비대칭 형태로 되어 용접부의 동적강도가 약화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루트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레이저 아크 복합용접기술을 조선소에서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용접이음부 루트간격의 여유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경우 용접토치의 이동속도를 제어하여 용접입열량의 크기에 따른 용융풀의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배킹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충분한 용입을 확보하며 용융금속의 용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백 용접기술을 활용하면 레이저 아크 복합용접부에 발생하는 루트결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조선해양, 에너지설비산업 등 고부가가치 중화학 설비의 용접품질향상과 경쟁력의 확보를 위해서는 국내의 용접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필요하다. 레이저 및 레이저 아크 복합용접부의 루트결함을 분석한 이 자료는 국내의 용접기술수준을 높이고 용접품질을 확보하는데 매우 유익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저자
J.J. Blecher, T.A. Palmer, and T. Debroy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94()
잡지명
Welding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3~82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