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및 근접 인식 서비스층 연결관리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은 기존의 IoT/M2M의 수직적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에서 공용 서비스 층과 네트워크 구조를 공유하는 개념으로 애플리케이션, 통신, IoT/M2M 도메인을 대상으로 OSI계층이나, IoT/M2M 프로토콜 스택, TCP/IP 스택 매핑과 서비스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 이 기술은 CAPA의 정책기반 메커니즘으로, 중계노드에 의한 서비스 층 통신시나리오, 멀티 혹은 단일 홉 링크 및 단일 홉 서비스 층 통신 시나리오, 이종의 통신 모드, 연결성 관리, 연결 구축 방법, 연결 의사결정, IoT 개체에 의한 연결성 조정 방법, 연결 조정 동안의 연결 의사결정, 연결 취소방법, 연결성 서비스 정책 관리 방법, CAPA 기능 흐름, oneM2M 표준에서의 CAPA 공통 서비스기능(CSF), CAPA 시나리오, CAPA CSF를 지원하기 위한 자원, M2M/IoT 시스템 구조 다이어그램, 통신시스템에서의 M2M/IoT 터미널과 게이트웨이의 시스템 및 컴퓨팅시스템 다이어그램 등을 제시하여 CAPA 관리 시스템 설계와 지능화된 자율 연결의사결정 알고리즘 및 메커니즘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다. 국내의 관련 의사결정 알고리즘과 SW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 국내 연구소와 업체들의 글로벌 개방형 IoT 플랫폼의 개발과 사물인터넷 테스트베드 및 연동플랫폼 공동 연구(FIESTA)의 참여는 고무적인 일이다. FIESTA의 대규모 IoT 테스트베드 구축, 플랫폼 간 연동을 위한 메타 클라우드 기술 개발, 글로벌 연합 가상 테스트베드 인프라 구축 및 시험평가를 통한 IoT 서비스 기반구축 등의 연구과제 참여도 중요하지만 국내 생태계 형성과 산업 유발효과로서의 기술적 경제적 파급효과 점검도 필요하다.
○ 반도체, 이동통신, 스마트폰, IT솔루션 업체 등의 IoT플랫폼 개발경쟁이 치열하다. 최근 IoT 인프라, SDN, NFV, CDN, IOT-A등의 개발협력도 강화되고 있다. 2015년 현재 IoT Platform 키워드로 전체출원건수는 중국 480건, PCT 91건, 미국 79건, EPO 15건, 한국 5건이며, PCT주요 출원자는 퀄컴, IOTIC, Convida, Neura, Cisco 등이다. 국내 IoT 플랫폼 기술개발 및 PCT 특허 출원에 분발이 필요하다
- 저자
- CONVIDA WIRELESS,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1668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9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