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기변색 응용을 위한 졸-겔 전기중합 합성 PEDOT:PSS/TiO2 나노복합체 막

전문가 제언

건물은 국가 에너지의 약 40%를 소비하고, 창호는 건물 내 에너지 손실의 최대 요인이 되고 있다. 윈도우를 통한 원하지 않는 태양열의 흡수와 실내 에너지 손실은 냉난방 에너지 수요를 야기하여 경제적 손실 외에 화석연료 전기 사용으로 온실가스 발생의 주범이 되고 있다.

 

태양광의 투과도를 가역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윈도우를 착색하여 광 투과를 막는) 전기변색기술이 전이금속산화물에서 발견, 보고된 지 오래되었다. 수소나 Li 이온처럼 작은 이온이 전자(전기)와 함께 다공성 WO3로 들어가면 텅스텐을 환원시켜 청색으로 변색시킨다. 유리에 WO3증착시킨 전기변색형 스마트 윈도우 기술은 착색(최소 광 투과도)과 탈색(최대 광 투과도) 상태 간의 콘트라스트가 크고 장기 내구성이 높다. 그러나 외부 전기가 필요하고 유리에 WO3 증착 등이 고비용이다.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PEDOT 저비용 공액 전기변색 재료가 시도되고 있지만, 혁신적 저비용이 요망되고 있다. 이 글에서 저자들은 산화환원에 의한 공액 전도성 고분자 PEDOT:PSS의 전기변색 특성의 혁신을 소개하고 있다. 이 재료는 고분자 태양전지의 p형 전자주개 재료인데, 전기전도성과 투명성이 양호하지만 습기에 약한 것이 문제였다. 글은 값싼 TiO2PEDOT:PSS와의 나노복합체(PEDOT:PSS/TiO2) 제조에 의한 해결책 소개이다. 제조법은 전통적 TiO2의 졸-겔법과 고분자 고유의 전기중합법을 함께 이용한 독창적 방법인데 매우 성공적이다.

 

이 나노복합체의 입자 크기는 PEDOT:PSS보다 훨씬 작아지고 분산이 균일해진다. 자외선-가시광선에서 인가전압 증가에 따라 흡광도가 줄며, -1.0+1.0V 사이에서 흡광도의 최대변화가 있다. 환원상태(깊은 청색)와 산화상태(맑은 청색)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8,000사이클 후에도 초기 흡광도의 75%가 유지되며, 착색과 탈색 사이의 콘트라스트는 PEDOT:PSS의 두 배가 되기도 한다. 상태변환 속도도 매우 빠르다.

 

필요한 전기를 자체 소자 내에서 공급하여 전기 배선을 삭감하고 관리비를 줄이는 차세대 스마트 윈도우가 개발되고 있다. 삼성 SDI의 안광순, 조선대 박경희, KIST 고두현 등은 활발한 국내 연구의 일례이다.

 

저자
Jinlin Lu,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584()
잡지명
Thin Solid Film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53~358
분석자
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